조회: 1,993
업데이트: 19-11-27 10:40
논문과 책
Art Historian
미술사연구자 이인숙
Lee, In-Suk
■ 학위논문
- 석사 : 「판교 정섭의 회화세계와 우리나라 서화계에 끼친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미술사전공 석사학위논문, 1996.6. (지도교수: 유홍준).
- 박사 : 「정조의 시서화 연구: 국왕 문예의 정치성과 심미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한국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08.6. (지도교수: 민주식)
- M. A. Thesis : ‘Zheng Xie's World of Painting and His Influence on the Korean Painters’
Art History Department of Aesthetics and Art Histor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u, Hong-June)
- Ph. D. Thesis : ‘Study on King Chong-jo(正祖)'s Poetry, Calligraphies and paintings : Political View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n King's Literature and Art’
Department of Koreanolog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in, Joo-Sik)
■ 논문
- 1. 「『초상화첩』인명 약보」,『일본소장 한국문화재』4, 한국국제교류재단, 1997.12, 392~413면. (유홍준 공동 집필)
- 2. 「정판교 제화 연구」,『중국어문학』34, 영남중국어문학회, 1999.12, 243~268면.
- 3. 「『병암진장첩』 해제」,『만남과 헤어짐의 미학』, 학고재, 2000.7, 136~144면.
- 4. 「정조의 그림에 관한 소고」,『민족문화논총』2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0, 231~265면.
- 5. 「정조의 서예 연구」,『서학논집」6, 대구서학회, 2001.12, 201~250면.
- 6. 「정판교 회화에 있어서 제화시문의 화면 구성 요소적 특질」,『서학논집』6, 대구서학회, 2001.12, 135~165면.
- 7. 「정조시대 서화의 미적 특질에 관한 연구」,『서학논집』7, 대구서학회, 2002.12, 279~329면.
- 8. 「손과정 『서보』의 심수쌍창론」,『서학논집』7, 대구서학회, 2002.12, 209~278면.
- 9. 「책가화ㆍ책거리의 제작층과 수용층」,『조선후기 민속 문화의 주체』, 실천민속학회, 2004.6, 169~237면.
- 10. 「조선시대 편지[簡札]의 문화사적 의의」,『민족문화논총』30,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4.12, 389~437면.
- 11. 「조선시대 간찰의 서예사적 의미」,『서예학연구』6, 한국서예학회, 2005.3, 51~81면.
- 12. 「정조의 <대로사비>(1787년) 전면 전서 연구」,『서예학연구』16, 한국서예학회, 2010.3, 203~226면.
- 13.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대동한문학』32, 대동한문학회, 2010.6, 295~331면.
- 14. 「석재 서병오(1862~1936)와 ‘교남시서화연구회’의 재인식」,『민족문화논총』45,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8, 345~379면.
- 15. 「원 오구연의 『학고편ㆍ삼십오거』 인장론 연구」,『서예학연구』17, 한국서예학회, 2010.9, 277~316면.
- 16. 「20세기 ‘대구문인화파(大邱文人畵派)’의 형성과 변천 연구」,『영남학』1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12, 463~497면.
- 17. 「15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서예학연구』18, 한국서예학회, 2011.3, 109~140면.
- 18. 「석재 서병오(1862~1936)의 시서화와 대구의 문인화」上,『월간묵가』69, 묵가, 2011.10, 58~65면.
- 19. 「석재 서병오(1862~1936)의 시서화와 대구의 문인화」下,『월간묵가』70, 묵가, 2011.11, 78~85면.
- 20. 「조선 16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민족문화논총』49,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12, 621~651면.
- 21. 「대구인, 석재 서병오(1862~1936년, 75세)」,『근대예술의 재발견』, 학진출판사, 2012.1, 32~49면.
- 22. 「1920~50년대 한글 서예의 한글 인장 사용 연구」,『서예학연구』21, 한국서예학회, 2012.9, 255~267면.
- 23. 「1900년대 대구 화단 죽석화(竹石畵) 연구」,『영남학』22,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12, 277~310면.
- 24. 「근대기 대구의 문인화가 긍석 김진만(肯石 金鎭萬, 1876~1933) 기명절지화 연구」, 『민족문화논총』5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12, 477~511면.
- 25. 「20세기 대구의 문인화가 죽농 서동균(1903~1978) 기명절지화 연구」,『서예학연구』22, 한국서예학회, 2013.3, 321~353면.
- 26. 「사람이 만든 장소, 장소가 만든 사람들-근대기 대구의 복합문화공간」,『근대와 현대의 만남』, 대구미술비평연구회, 2013.11, 120~145면.
- 27.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6)의 기명절지화 연구」,『민족문화논총』55,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12, 375~406면.
- 28. 「20세기 대구 전통화단 기명절지화의 전개와 표현 양상」,『영남학』24,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12, 359~389면.
- 29.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6) 묵란화 연구」,『영남학』26,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12, 397~424면.
- 30. 「근대기 대구의 산수화가 기석 허섭(箕石 許燮, 1878~1934)의 ‘묵산수(墨山水)’ 연구」,『민족문화논총』58,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12, 729~757면.
- 31. 「죽농(竹儂) 서동균(徐東均, 1903~1978) 산수화 연구」,『대구경북연구』14권1호, 대구경북연구원, 2015.4, 13~31면.
- 32. 「20세기 대구화단 산수화 연구: 허섭과 서동균 화맥을 중심으로」,『영남학』2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12, 389~418면.
- 33. 「근대기 대구의 서예가 회산(晦山) 박기돈(1873~1947) 서예 연구」,『한국학논집』62,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3. 121~152면.
- 34. 「석재 서병오의 불교적 성향과 불교 관련 서예 연구」,『민족문화논총』6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4. 315~343면.
- 35. 「근대기 대구 이종면, 이근상 부자의 ‘오정ㆍ소정컬렉션’ 서화 연구」,『영남학』3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12, 187~219면.
- 36.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서예학연구』31, 한국서예학회, 2017.9, 161~190면.
- 37. 「서병오 제화시(題畵詩) 연구-자신의 그림에 쓴 창작시를 중심으로-」,『민족문화연구』7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11, 67~103면.
- 38. 「서화가 서병오의 중국행 시기와 기간에 대한 고찰」,『대구경북연구』제17권 제2호, 대구경북연구원, 2018.10. 55~75면.
- 39.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6)의 기생 이름을 명시한 시서화 연구」,『사림』68, 수선사학회, 2019.4, 263~292면.
- 40.「근원 김용준(1904-1967)의 기명절지화 연구」,『민족문화연구』8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11, 493~525면.
- 41. 「20세기 대구 전통화단의 묵죽화 지속에 대한 연구」, 『한국학』164,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9, 201-234면.
- 42. 「서양화가이자 전각가인 미술가 청남(晴南) 이상정 연구」, 『영남학』83,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퇴계연구소, 2022.12, 317-347면.
- 43. 「대구의 독립운동가이자 서화가 김진만 회화 연구」, 『대구경북연구』22-1, 대구경북연구원, 2023.4, 51-76면.
■ 책
- -『석재 서병오 필묵에 정을 담다』, 중문출판사, 2018.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