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4    업데이트: 23-04-13 11:02

BOARD

몸이 만드는 풍경
아트코리아 | 조회 522
몸이 만드는 풍경


작가 송광익은 종이를 가지고 작업을 한다. 종이에 채색하거나 물감을 뿌리는 것은 작업의 시작일뿐이다. 그
의 작업이 예술작품이라는 결과물을 전제로 한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만든다’는 것은 그에게 예
술이 그 존재를 드러내는 사건과 마주하게 하는 것이다. “공작”이라는 말은 그런 의미에서 만들어질 무엇만
큼이나 만드는 과정에 대한 강조일 수 있다. 작품에 대한 그의 생각을 말할 때 그가 되뇌는 “공작”이라는 말
은 작업의 과정과 작업 행위가 작품에서 분리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이다. 예술가는 ‘만든다’는 동사형의 
시간을 통해 사물로부터 예술의 드러남을 그리고 작가로 있는 자신을 마주한다. 

송광익의 작품은 담담하다. 장식적인 요소는 덜어냈다. 색은 스며들어 머금은 나머지로 있다. 하이데거는 예
술작품에 존재하는 사물적 성격을 하부구조와 같은 것으로 보고 사물적 성격에 주목했다. 본래적인 성격이 이
러한 하부구조 속에 그리고 하부구조 위에 구축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송광익에게 한지가 갖는 사물성
은 자연의 결을 담은 자연스러움과 역사성에 기인한다. 한지에는 태양 아래 바람의 일렁임과 함께 너볏이 대
지의 숨을 담아 생명을 일궈 온 시간이 있다. 이러한 재료를 작가는 정밀한 잣대로 재단하려 하지 않는다. 한
지의 담담함을 담기 위해 채색조차 배면을 이용한다. 한지를 지탱하는 섬유질의 얽힘으로 색을 충분히 머금지 
못하는 부분이 있더라도 그 빈자리를 굳이 색을 더해 채우려 하지 않는다. 한지의 고유한 결을 따라 예술이 머
무는 자리를 더듬을 뿐이다. 

종이를 채색하여 마름질해 놓고 나면 손에 닿는 촉감을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마름질한 한
지는 높으면 높은 대로, 낮으면 낮은 대로 서로를 맞대어 화면을 이룬다. 판넬 위에 골을 이루는 형태는 얇은 
막과 같은 한지를 세우기 위해 풀을 발라 맞물리게 하면서 생긴다. 소리가 소리를 부르듯 선은 선을 불러 늘
어선다. 때로는 빗금으로 때로는 수직선으로 그렇게 손은 그 재료가 가진 물성으로부터 있음의 본연한 모습을 
알아서 맞추어 나간다. 송광익에게 재료는 한낱 대상에 불과한 것으로 머물지 않는다. 작업에 대한 방향과 계
획이 결정되면 의식과 몸은 하나가 되어 몰입하게 된다고 작가는 말한다. 그 행위 가운데 온전히 있을 때 작
가의 삶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세계로부터 존재는 드러난다. 하나에 하나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에 
담긴 이야기가 화면에 맺히고 서린다. 그것은 시간의 흔적을 거두어 내고 만나는 고고학적 사건이 아니라 몸
이 만나는 시간과 공간의 이야기이다. 

한지를 만지는 그의 손은, 그의 몸은, 그를 둘러싼 세계와 함께 사유한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듯 그의 몸이 깨
어날 때, 연결된 몸들도, 타자들도 함께 깨어난다. 그들은 나라는 장소에 출몰하는 존재요, 그들의 존재는 내
가 출몰하는 장소다. 그리고 나는 그들과 함께 현존하는 모종의 큰 존재에 출몰한다. 퐁티의 이러한 생각처럼 
작가가 바라보는 세계는 나와 동떨어진 대상으로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에게 이미 옮아 와 있고 작가는 
자신이 마주한 세계로 옮아 가 있다. 산이, 바람이 물이 스며있지 않은 나를 생각할 수 없듯이 내가 스며있지 
않은 구름을, 너를, 재료를 생각할 수 없다. 퐁티는 질감, 빛, 색, 깊이가 우리 앞에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이
것들이 우리 몸 안에서 반향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요, 우리 몸이 이것들을 환영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송
광익에게 한지는 단순히 작품을 구성하는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 작가의 삶과 연결되며 
존재의 진리를 드러내는 데로 들어선다. 메를로 퐁티는 화가를 세계에 자기 몸을 빌려주고 그림을 얻는 자로 
정의한다. 이때 예술은 구축이나 조작이 아니라 숨겨진 힘들을 간직한 일상적 시지각 속에서 존재 이전의 비
밀을 일깨우는 빛의 목소리 같은 외침이 된다. 실낱같은 시간에 매달려 펼쳐진 화면은 한지와 한지 사이의 공
간으로 진동한다. 세워진 한지의 높이가 마련한 깊이는 다양한 울림을 내어준다.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한지
를 세우는 간격에 따라 선이 되기도 하고 면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서정적 풍경 너머로 자연으로 있는 삶이 
언뜻 어린다.


2018.8.5 배태주, 미술평론(미학/철학)



Scenes Made by the Body

Song Kwangik uses paper to create artworks. Applying or scattering paint on paper is nothing but the departure point of his work. No one can deny that his work process ultimately produces works of art. To the artist, however, the act of “making” causes him to experience an event in which art unmasks its existence. In this sense, the word “craft” is perhaps used to underscore something to be made or the process of making something. The term “craft” which he frequently uses when accounting for his ideas on artworks refers to how an act or process of work cannot be divorced from an artwork. The artist confronts both the disclosure of art and himself as an artist during this period of “making.” 


Song’s pieces appear serene and plain without decorative elements and the colors he uses seem saturated or permeated. Martin Heidegger paid heed to the nature of things, thinking of this nature a work of art possesses as something like its infrastructure. He believed that inherent nature is formed in or on such an infrastructure. In Song’s art such a property of things derives from naturalness and historicity. Hanji, or Korean paper made from the inner bark of paper mulberry trees, contains the time in which life is engendered through wind under the sun and the breath of the land. He does not cut the paper precisely. He applies paint to the back of a piece in order to revive the serenity and plainness of hanji. He does not fill empty spaces with colors, even though there are some sections that have been less saturated with colors due to how the paper’s fibers are entangled. He simply feels about for spots where art stays according to hanji’s intrinsic grains. 


After the paper is cut out and painted, he begins constructing a scene according to how it feels based on touch. Pieces of cut-out hanji are placed facing one another to forge a scene irrespective of their height. He causes the groove-like forms on a panel to interlock by applying glue to erect such hanji pieces. Just as a sound makes sound, lines generate lines which are at times oblique and at times vertical. In this way his hand sets the essential look of the materials while exploring their physical properties. To Song, materials are more than objects. The artist mentions that his consciousness becomes one with his body and he begins to occupy himself with his work once its direction and plan have been determined. When he is amid such acts, his existence is revealed not only through his own life but also through the world surrounding him. His narratives are formed and imbued in his scenes one by one. They pertain to spaces and times in which his work encounters his body. 

His hand touching hanji in conjunction with his body contemplates the world surrounding him. As Maurice Merleau-Ponty stated, connected bodies and others wake up when his body is awakened. They are those who show up in the place of me and their existence is the place where I show up. And, I emerge through some gargantuan being that coexists with them. As Merleau-Ponty considered this, the world an artist views is not far away from me: it has already been in the artist and the artist has already moved to the world he or she faces. Merleau-Ponty stated texture, light, color and depth exist before us because they react to our bodies and our bodies welcome them. To Song, hanji is not a device to forge an artwork: it connects to his life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an artwork and enters into a path to disclose the truth of existence. Merleau-Ponty defines painters as those who lend their bodies to the world and gain paintings. At this time art is currently becoming something like the voice of light which awakens secrets before existence in everyday visual perceptions where hidden strength, not construction or manipulation, is kept. His scene suspended from thread-like time vibrates in the gaps between pieces of hanji. The depth stemming from the height of the erected hanji pieces arouses a variety of resonances. They become lines or planes depending on the visual angle or space where they are erected.

 Bae Tae-joo, Art Critic (Aesthetics & Philosophy)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