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9    업데이트: 24-05-23 09:15

언론&평론

[전시속으로] 모란의 현대적 재해석…김유경 작가의 ‘신모란도’ 매일신문 입력 2024-05-20
아트코리아 | 조회 47
5월 20~29일 갤러리인슈바빙


5월 20~29일 갤러리인슈바빙[김유경 작가가 자신의 작품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연정 기자]

예로부터 부귀영화를 상징하며, 민화 속에 자주 등장했던 모란이 캔버스 위에 활짝 피었다. 감각적인 색으로 덧칠한 배경과 선명한 선, 현대적인 붓질이 기존에 봐왔던 모란도와는 조금 색다른 느낌을 전한다.

김유경 작가(수성구미술가협회 회장)는 모란이 가진 한국적인 상징성과 함축적인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표현한 '신모란도'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서양화를 전공한 그는 2000년대부터 한국적인 것을 소재로 한 서양화를 그리기 시작했고, 10년 전부터는 신모란도에 천착해왔다.

"화가의 길을 걷기 시작할 때부터 자연 속에서 작품 소재를 찾고자 했어요. 그 중에서도 꽃을 택한 건 시각적 화려함, 시적인 발상 등이 예술적 소재로써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것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 단순화 또는 변형하거나, 심상적인 울림을 전달하고 싶었죠."

그의 그림은 자연 속에서의 조화를 그려낼 뿐 아니라, 동양적 소재를 서양의 재료로 풀어내는 동서양의 조화, 예나 지금이나 시간을 초월해 많은 이들의 소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시간의 조화도 함께 담고 있다.


김유경, Harmony of nature.

그는 전시를 열 때마다 모란도라는 하나의 주제 속에서 다양한 기법적 변화를 시도해왔다. 최근에는 채색 위에 선을 더하는 기법으로 율동성을 첨가하고 있다.

작가는 "선과 색이 서로의 빈 곳을 채워주며 에너지를 주고 받는다"며 "소묘를 다 한 후 채색하는 전통적인 기법을 주로 하지만, 이에 역행해 색을 먼저 칠한 후 선으로 스케치해 마무리하는 기법을 할 때도 있다. 회화의 규칙에서 과연 선이 먼저일까, 색이 먼저일까 라는 질문을 던져보며 즐거운 도전을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업 초창기부터 저의 작품 주제는 '꿈과 희망'이었습니다. 민화의 주제들이 갖고 있는 경박스럽지 않은 순수성과 아름다움, 상징성은 대중들에게 희망적인 기운을 주죠. 앞으로도 그런 의미를 담고, 전통과 현대를 잇는 새로운 시각으로 작업을 해나가려 합니다."

작가의 24번째 개인전 'Harmony of Nature'는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갤러리인슈바빙(대구 중구 동덕로 32-1)에서 열린다. 053-257-1728.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