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간을 초월한 온라인 전시관

대구 김강록 '불이의 미학전'
2014/05/02 | 아트코리아 | 조회 40604 | 댓글 0

 

 

 

 

 

 

압도적 표상감각과 우주적 빛의 분산(分散)  ㅡ 최헌묵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여기, 지역, 한국, 세계, 지구, 태양계, 은하계.... 그리고 더 멀리 성간성운, 그리고 또 다시 다른 차원의 우주... 그 속에서 우리는 어떤 존재일까? 심지어 지구의 역사에서 인간 존재의 탄생은 지극히 짧은 순간이라고 하지 않는가? 그만큼 인간이란 작고 작은 존재일 뿐이다.

 

   

 

 

율려4347-01-11 I 1,820mm × 1,17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11 I 1,820mm × 1,17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3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3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김강록의 그림은 그런 상념에 잠기게 한다. 그의 율려 시리즈는 흔히 “태초에 생명이 만들어지는 근원” 혹은 “상생과 상극의 통합”으로서 율려를 적, 황, 청, 흑, 백색의 오방색으로 자유분방하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그의 초기작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압도적 표상감각”이 이 율려 시리즈와 결합되면서 다소 무거워질 수 있는 작품의 주제를 밝고 화려한 색채감으로 반전시키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율려4347-01-04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4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5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5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미술평론가 홍준화는 김강록의 율려 시리즈의 특징으로 “우주적... 원초적 질서개념의 구현”, “형체적 다양함”, “색채적 화려함”을 꼽았다. 또한 김동철은 “역동적인 힘과 생기”로 넘쳐나는 그의 그림은 “근원적인 자연의 이미지를 회화적 미감으로 표출”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어쩌면 이와 같은 특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기인했을지도 모르겠다. 김강록의 첫 번째 전시회(1994년)에 부친 그의 스승이자 지역 미술계의 원로이신 정점식 선생님은 그의 그림에 대하여 “압도적인 표상감각”이라고 칭하면서, 그것은 마치 “보석의 다면체에 응집시킨 빛과 색채의 프리즘”이며, 그 “프리즘의 산광(散光) 속에 대상의 모습을 숨기고 있다”고 하였다. 결국 그의 화려한 오방색의 난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잠재되어온 그의 미술세계의 본질적 특성인 셈이다.

율려4347-01-06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6 l 530mm × 727mm l Mixed Media

 

율려4347-01-07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7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그러나 그의 이러한 화려한 색채감, 혹은 압도적 표상감각이 단순히 김강록 개인의 기질적 특성에서 시작되었을까? 율려, 그것이 바로 그런 모습이 아닐까? 그리고 작가는 본능적으로 그것을 감지해낸 것은 아닐까? 율려(律呂)는 음양오행의 동양철학에 기초하고 있고, 고대 신화에서는 천지창조의 주인공으로 일컬어지는 등 신화와 철학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양 음악의 용어로서 일종의 음계를 의미한다. 즉 12음계 중 6개는 양율(陽律), 그리고 6개는 음려(陰呂)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즉 율려는 동양식 조화이며 어울림이고, 그것이 바로 서양 신화의 어둠과 카오스 속에서 우주가 탄생한 것과는 대비되는 지점이다.

율려4347-01-08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8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9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9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1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1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화가 김강록은 바로 이 지점을 주목하고 있는 셈이다. 즉 그의 화려하고 밝은 색채감은 바로 동양식 조화와 어울림의 정신으로 원초적 천지창조의 세계를 그리고 있는 것이다.

 

율려4347-02-02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2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3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3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또 하나 생각해볼 지점은 빛이다. 지구의 빛이 아니라 우주 속에서 빛이다. 흔히 몇 억 광년 멀리 떨어진 성운이 뿜어내는 빛 말이다. 소위 말하는 안드로메다 성운, 마젤란 성운... 이와 같은 거대한 성운이 뿜어내는 빛을 상상하는 것이다. 우리가 속한 은하계 성운도 그 빛 중 하나이다. 율려의 빛은 그런 것이 아닐까?

 

 율려4347-02-04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4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5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5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빛조차 중력에 갇히고, 가스층과 각종 원소들이 부딪치면서 쏟아져내는 빛의 세계가 율려의 세계이리라. 그리하여 순수하게 흰 빛, 시리도록 빛나는 푸른 빛, 운명처럼 다가오는 붉은 빛, 그리고 그들을 감싸고 있는 침묵의 검은 빛... 화가 김강록의 율려 시리즈는 바로 그 먼 성운들이 뿜어내는 빛의 향연을 상상하게 한다. 그리고 그 상상은 결국 그림 앞에 서 있는, 정확하게 말하자면, 우주 거대 성운 앞에 선, 나는 무엇인가, 또는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 질문으로 몸서리치게 만든다.

 

율려4347-02-06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6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7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7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그리하여 나는 이 글을 시작하는 첫 마디에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로 시작하였다. 그것은 바로 화가 김강록의 그림이 주는 질문인 것이다. 자유분방한 원형, 굵직굵직하게 뻗은 직면체, 이리저리 가로지르는 직선, 여기저기 뿌려진 점, 그리고 모래알처럼 스며든 혼합재료... 그것들이 모두 일제히 엉키고 설켜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이 거대한 원초적 율려의 세계에서 너는,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율려4347-02-08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2-08 I 500mm × 350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1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1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그런 면에서 김강록의 그림은 또 다른 차원에서 일종의 컨셉아트(Concept Art)인 셈이다. 작가의 컨셉이 아닌, 그 그림을 보는 관람자의 컨셉을 묻는 컨셉아트인 것이다. 이것은 비구상의 세계가 도달해야 할 성취의 지점이라고 할 때, 김강록의 그림은 바로 그 지점을 쟁취하였다. 화려하고 밝은 색채감의 압도적 표상감각과 우주적 빛의 분산(分散) 속에서.

 

 율려4347-01-02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율려4347-01-02 I 530mm × 727mm I Mixed Media

 

 율려4346-10 I 1,820mm × 1,170mm I Mixed Media

 

율려4346-10 I 1,820mm × 1,170mm I Mixed Media

 

“Outstanding sense of image representation and the dispersion of the universal light”

Choi Hyun Mook (Playwriting Producer, Ex. Director of SuSeong Artpia)

 

 율려4346-11 I 1,940mm × 1,300mm I Mixed Media

 

율려4346-11 I 1,940mm × 1,300mm I Mixed Media

 

How much do we know about ourself? Here, other area, Korea, World, Earth, Solar System, Galaxy,… and farther distant Nebula and again different dimension of Universe… What do we represent within this endlessly unfolding universe? Furthermore they say that the birth of human existence is occupying a very short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Earth? As that much, Human being is such a small and tiny existence.

 

 율려4346-06 I 2,730mm × 1,170mm I Mixed Media
 
 
율려4346-06 I 2,730mm × 1,170mm I Mixed Media
 
 
 율려4346-02 I 1,500mm × 700mm I Mixed Media
 
 
율려4346-02 I 1,500mm × 700mm I Mixed Media
 

Kim Kang-Rock’s paintings make us immersed in such idea. His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series freely represent “the root of the human birth in the beginning” or “The combination of harmony and discordant” with the five directional colors of red, yellow, blue, black, and white. “Outstanding sense of image representation” that has been connected up to now from his early works, is especially combined with his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series, and shows the effect reversing somewhat heavy theme of his works into bright and splendid color tones.

 

 율려4346-09 I 1,750mm × 500mm I Mixed Media

 

율려4346-09 I 1,750mm × 500mm I Mixed Media

 

 율려4345-08 I 2,340mm × 910mm I Mixed Media

 

율려4345-08 I 2,340mm × 910mm I Mixed Media

 

Hong June-Hwa, an art critic, counted “universal… realization of ultimate origin of order concept”, “diversity of form”, “splendid color tones” as the characters of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series. Also Kim Dong-Chul said that his works are overflowing with dynamic energy and vitality, because they express the ultimate origin of natural image with pictorial sense of beauty. However, such characteristics might be originated from long time ago.

 

 율려4345-04 I 1,220mm × 910mm I Mixed Media

 

율려4345-04 I 1,220mm × 910mm I Mixed Media

 

At Kim Kang-Rock’s first exhibition(in 1994), Sir. Jeong Jum-Sik, who is also his teacher and a veteran in local art world, called his works “An outstanding sense of representation”.

 

 율려4345-09 I 2,340mm × 910mm I Mixed Media

 

율려4345-09 I 2,340mm × 910mm I Mixed Media

 

Additionally, Sir. Jeong Jum-Sik also mentioned about his works that they are prism of colors and lights condensed into a polyhedron of jewels, and hiding the feature of object in diffused light of the prism. Eventually, his splendid rampage with five directional colors reckoned to be the essential nature of his artistic world which has been latent for a long time.

 

 율려4345-03 I 1,830mm × 970mm I Mixed Media

 

율려4345-03 I 1,830mm × 970mm I Mixed Media

 

 율려4345-07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5-07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However, did his sense of splendid color tones or outstanding sense of representation start simply from Kim Kang-Rock’s personal congenital characteristic? Didn’t he conceive it by his basic instinct? The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is based on the Oriental Philosophy of Yin and Yang theory, which is also a main character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in the ancient mythology, is used variously in mythology and philosophy, and also means some sort of musical scale in the oriental music. In other words, 6 of the 12 scales means the bright (yang) scale and the rest of the 6 means the dark (yin) scale. The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is the oriental harmony and togetherness, and also a contrasting point of the western mythology an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n the dark chaos. Artist Kim Kang-Rock observes right this point. That is, his sense of bright and splendid color tones is painting the world of the ultimate origin of the creation with the oriental spirit of balance and togetherness.

 

율려4345-11 I 2,000mm × 700mm I Mixed Media 

 

율려4345-11 I 2,000mm × 700mm I Mixed Media

 

 율려4344-02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4-02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Another point to think about is the light. It is not the light of the earth, but the light in the universe, commonly say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nebula that is more than a hundred million light years away. We imagine the light that gigantic nebulas such as the Andromeda Nebula or Magellan nebula are e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Galaxy nebula where our planet belongs is one of those lights. The light of the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might be such one.

 

 율려4344-03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4-03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4-05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율려4344-05 I 727mm × 530mm I Mixed Media

 

The World of the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must be the world of light that is gushed out from the crash between gas layer and various kinds of elements when light is even locked up in the gravity.

 

 

So, the pure white light, chillingly dazzling blue light, red light that is approaching as if it is a destiny, and the black light in a silence that surrounding all the lights….

 

 율려4344-04 I 334mm × 242mm I Mixed Media

 

율려4344-04 I 334mm × 242mm I Mixed Media

 

  율려4344-07 I 530mm × 455mm I Mixed Media

 

율려4344-07 I 530mm × 455mm I Mixed Media

 

Artist Kim Kang-Rock’s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series make us imagine the feast of lights those far distant nebulas are emitting. And that imagination makes us shuddering at the essential question, what am I standing in front of this painting, or what is human being, standing in front of gigantic nebulas of the universe if expressing exactly.

   

That’s why I began this article with first phrase “How much do we know about ourself?”. That is the question Kim Kang-Rock’s works are asking us. The combination of the freewheeling circle, burly stretched solid figure, crossing straight lines one way or another, dots scattered here and there, and the mixed materials permeated like grain of sands… all of these are mixed together and asking us a simple question. In this gigantic and ultimate origin of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world, what are you, and what is human being?

 

 율려4344-10 I 2,600mm × 970mm I Mixed Media

 

율려4344-10 I 2,600mm × 970mm I Mixed Media

 

In such way, Kim Kang-Rock’s works are sort of a Concept Art in a different dimension. It is a Concept Art, not artist’s concept, but the one that asks what audience’s concept is. Let’s just say that is the accomplishing point where the world of non-figuration should reach. Then, Kim Kang-Rock’s works obtained that point, in splendidly bright color-expression with outstanding sense of representation of universal light dispersion.

 

 

 

 

 

 

 

 

 

내 친구 강록이  ㅡ 화가 이영철

김 화백과의 인연은 비슷한 연배의 화단 동료들에 비해 꽤 늦게 시작되었다. 대구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작업을 하다 보니 사회 활동과 화단 이력이 자주 겹쳐지기는 했다. 하지만 이 친구는 신체적으로 타고난 아주 우월한 유전인자를 바탕으로 늘 정장차림의 빈틈없는 도회적 이미지가 강했다. 당연히 나처럼 좀 허술하고 두루뭉술한 타입과는 맞지 않을 것이란 선입견이 있었다.

그런데 막상 인연이 겹치고 쌓이는 동안 이 친구는 심지가 깊고 심성이 순박하다는 것을 눈치챘다. 알고 보니 그의 고향 상주 함창 촌놈 그대로였다. 삼한시대 3대 저수지 가운데 하나였던 상주 공검지 근처 함창에서 태어난 그는 그곳에서 자라고 공부를 해서 계명대학교 미술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을 했으니, 소위 말하는 동네 수재 가운데 하나였다. 배워서 아는 것이 아니라 타고난 미감과 열정, 그리고 저수지처럼 깊은 감성이 지금도 굳건하게 붓을 잡게 하는 원동력이다. 게다가 화가로서 작품 활동 이외에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몸에 배인 성실한 자기 관리 덕분에 벗들과의 사이에서 궂은 일, 힘든 일은 늘 김 화백이 소리 없이 도맡아 해결해준다.

가끔 김 화백 마음 깊이 들어 있는 아이가 하나 보인다. 한번은 영화와 시, 그림이 함께하는 모임 뒷풀이 끝에 술이 거나하게 오른 내가 그 기특한 아이를 발견하고 안아준 적이 있다. 마침 다른 친구가 이 장면을 기념사진으로 남겼는데, 술은 깨기 마련이고 사진은 늘 진실을 보여준다는 데 문제가 있었다. 분명 꼬마 강록이를 격려하느라 흐뭇해 마지않던 기억만 남았는데, 나중에 본 그 사진에는 키가 아주 큰 김 화백에게 마치 매미처럼 매달려 있는 내 모습이 담겨 있었다. 모두들 개그 프로 한 장면을 엿본 듯 뒤집어졌음은 물론이다. 아무튼 김 화백은 이제 서로의 고민을 의논하고, 함께 은사님을 모시고 식사도 나누며 철따라 소풍도 다닌다. 나아가 화단 안팎의 문화에 대해서도 주제 넘는 걱정까지 하는, 그냥 있는 그대로 ‘내 친구 강록’이다.

 

 

 

불이(不二)의 미학(美學)

김강록의 회화는 거친 혼합재료를 바탕질료로 사용한다. 그 투박한 질감 위에 힘 있고 속도감 넘치는 붓질이 화려한 오색과 간색을 실어 나른다. 화면 위에는 색 면과 색 점이 뒤엉켜 서로 충돌하고 혼돈을 불러일으키다가 빠르게 상생과 화해의 통로를 거쳐나가는 과정에서 격렬한 에너지를 발산한다.

따라서 다분히 추상표현주의적인 요소가 강하다. 그러나 좀 더 들여다보면 전형적인 추상표현주의 계열의 작품 군이 지니고 있는 자유롭고 비정형화된 감상의 분출 혹은 범람과는 구별되는 점이 있다. 화면의 중심을 채운 뜨거운 추상적 에너지는 화면 외곽에 배치된 정적이고 이성적인 공간에 의해 어김없이 제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강록의 회화는 이처럼 율려(律呂)라는 이름 아래 기본적으로 열고 나가려는 힘과 닫고 가두려는 기운이 부딪치며 마치 대위법처럼 점, 선, 면 그리고 색채가 상호 반응하는 이중적인 화음을 만들어 낸다.

그의 작품 속에는 생성과 소멸, 이성과 감성, 현전과 부재, 열림과 닫힘, 지상과 우주, 고대와 미래, 자유와 억압, 따뜻함과 차가움 등 우주를 구성하는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상대적인 개념이 내재되어 있다. 꿈틀거리는 존재의 근원적인 욕망과 이것을 제어하려는 이성적인 미의식이 거의 모든 화면에서 부딪친다. 그리고 이 두 개념을 분리해 바라보면 막 터져 오르기 직전의, 그러나 결코 터지지 않을 것 같은 화산을 바라보는 마음처럼 불안하고 불편하다. 따지고 보면 사실, 이러한 이중구조는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나누어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앞면과 뒷면이 전혀 다르지만 우리는 그것을 ‘동전’이라 부른다. 또한 손바닥과 손등도 전혀 다른 모습과 역할을 하지만 그냥 ‘손’이라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의 작업에 등장하는 미학적 쌍 개념들도 부분을 보면 대립된 세계이지만, 전체를 보면 모두가 둘이 아닌[不二] 우주적 화합의 세상이다.

김강록 회화의 이성적인 닫힘과 감성적인 열림도 둘이 아니다. 분출하려는 자유의지와 이것을 통제하려는 마음도 둘이 아니다. 김강록의 회화는 인간과 자연, 우주의 근간을 이루는 온갖 갈등과 충돌의 요소들을 상생과 화해의 마음에 담아 부분과 전체를 하나로 아우르며 끊임없이 변주시켜 나가고자 하는 불이(不二)의 미학(美學)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땅, 하늘 그리고 사람

김강록의 회화를 처음 접했을 때 내 마음 속으로 직진해 들어온 이미지는 땅이었다. 특히 투박한 바탕질료와 그 위에 쏟아 부은 듯 칠해진 오방색과 간색의 합창은 길고 긴 겨울, 죽음의 시공간을 가로질러 막 터져 오르기 시작한 봄의 대지를 신의 시점에서 내려다 본 듯 느껴졌다.

소멸과 죽음을 모태로 삼아 생명을 더욱 생생하고 빛나게 하는 지극히 역설적인 상황은 실재로 우리들이 늘 경험하고 있는 자연이고, 세상이다. 생겨난 모든 것은 거부할 수 없는 질서 속에 살아가지만, 막상 따져보면 어느 것 하나 예측 가능하도록 확고하게 구축된 질서 또한 없다. 그래서 지상의 존재는 늘 불완전하고 우주의 본질도 불안정하다. 그래서 김강록의 그림에서 거친 마티에르를 걷어낸 후 색면 자체의 울림을 지켜보면 땅이 곧 하늘이다.

 

새순과 꽃잎들처럼 보이는 색, 점들은 별자리이고, 넓은 들과 언덕처럼 보이는 땅은 태양계, 은하계를 넘어서 천체의 운행질서를 따라 한없이 열려 있다. 우주와 지상도 둘이 아니다. 우주는 빛으로 가득하고 그 빛을 오방 위의 색으로 표현하는 것이 그의 그림이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화가는 땅[地]과 하늘[天]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람[人]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물론 그 물음은 활짝 열려 있지도, 굳게 닫혀 있지도 않다. 그저 하늘과 땅, 질서와 무질서, 삶과 죽음, 웃음과 눈물, 희망과 절망, 시간과 공간 등 우주의 근원으로부터 온 모든 것들이 인간과 인연이 되어 그들을 널리 이롭게 하는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궁금해 한다. 천지가 뒤섞이는 그의 그림 속에는 늘 따뜻한 인간적인 사랑이 스며들어 있다. 김강록은 그림을 통해 우주의 질서와 자연의 이치를 담아내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렇게 담아낸 천지인의 모습을 상생과 조화의 회화세계로 이끌어나가는 여정이 곧 그의 예술세계인 것이다

 

 

 

키가 큰 나무

내 친구 강록이는 키가 크다. 그리고 의식의 심연에는 여전히 함창 시골을 뛰어다니며 노느라 미처 자라지 않은 아이를 품고 있다. 자주 강록이는 넓은 들판에 서 있는 나무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 괜찮은 인간이자, 화가이고, 존경받는 미술 선생인 그는 미술행정, 영화 등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도 크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대사에 깊은 조예가 있고, 사회적인 활동까지 왕성하게 하고 있다.

그저 화가로만 살기에는 너무 큰 정신의 키와 긴 팔을 가졌다. 나는 친구니까 나무가 크니 더 멀리 세상을 보나보다, 하늘의 뜻도 큰 만큼 잘 헤아리나보다 하고 여과 없이 기쁘게 받아들인다. 융합이고 통합이 미덕인 시대이니 문화와 교육, 사회 전반에 전문적인 소통이 가능한 내 친구 강록이 같은 예술가도 꼭 필요하다.

너무 넓어서 오히려 좁은 땅에 뿌리를 내리고, 너무 커서 오히려 작은 우주를 머리에 이고 서서 늘 바쁜 이 나무의 행보가 점점 더 궁금해진다. 물론 특별한 인연을 쌓아가는 동료 화가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마음속에 들어 있는 아이와 좀 더 많이 대화를 하고, 그 아이가 가자고 하는 대로 따라가서 더 깊고 큰 그림을 많이 그렸으면 하는 것이 제일 큰 바람이기는 하다.

律呂 율려 Tune of Universal Regularity I 不二의 美學 Non-dividual Aesthetics

 
이전글 방복희 門 展

방명록 남기기
작성자 :     비밀번호 : 자동등록방지(숫자)
댓글목록 0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십시오
답글쓰기
작성자 :     비밀번호 : 자동등록방지(숫자)
작품판매
들을 깨우다
이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