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9    업데이트: 19-08-23 09:16

평론

마음이 아니면 절대 할 수 없는일-노태웅의 작업에 대해_박준헌(미술이론)
관리자 | 조회 856

마음이 아니면 절대 할 수 없는일-노태웅의 작업에 대해

 
마음이다.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다. 세상은 마음으로 말미암아 이뤄지기도 하고 부서질 수도 있다. 마음으로 하는 일은 다르다. 그래서 누가 시키지 않아도 지켜보지 않아도 할 수 있다. 모든 것의 근본은 마음이고, 이 마음으로 말미암아 살아갈 수 있다.
 
눈이 아니다
압축된 언어를 사용하고 SNS를 끼고 사는 시대의 감수성은 예술의 소비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림과 시와 소설 보다는 영화와 광고가 시대를 대변하고, 일 초에 몇 번씩는 현란한 이미지들은 우리의 삶 속에 스며들어 일상을 그 패턴에 맞춰 익숙하고 길들여지게 한다. 이러한 감각의 바탕을 이루는 기관은 '눈'이다. 보는 것이야 말로 이 시대에 가장 중요한 감각의 원천이 되었고, 그 기저에는 "보여야 소비할 수 있다"는 자본의 강령이 자리한다. 어느 글에선가 이러한 시댈르 '감각의 제국. 기술의 지옥'이라 표현한 적이 있다. 이러한 시대에 캔버스와 오일을 재료로 정서적 충격이나 드러나지 않았던 감각적 증표들을 현실세계에 구축하여 그 체험을 의미 있게 만들고 공유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서점의 구석에는 여전히 종이책 시집(詩集)이 진열되어 있고, 출간되고 있으며, 여전히 수많은 전시회에 수많은 작품들이 선보이고 있다. 다 마음이 시켜서 하는 일들이다. 노태웅은 현대미술 작품이 어렵다는 선입관을 불식시킨다. 화면을 구축하고 있는 이미지가 고향에 대한 향수와 우리의 자연에 대한 정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지식과 철학으로 일관되어야 하는 현대미술의 관념이 최소화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타인이나 전문가의 해석이나 평가 혹은 감정을 위탁할 필요가 없다. 그냥 관객이 독자가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되는 것이다. 어쩌면 이 글 조차도 그의 작품에 대한 상투적인 해석의 일부일 수밖에 없음을 고백해야겠고, 진정한 작품과의 일체(一體)를 방해하는 사족이 될 수도 있다. 좋은 그림은 시대와 현실을 넘어 유동하는 것이고, 부르지 않아도 돌아볼 수 있는 작품이다. 그러한 작품은 보통 작가의 마음을 담은 ‘진솔한 고백의 언어이며 몸짓’이다. 이러한 고백은 자신을 드러내면서 또한 동시에 자신을 지우고 우리에게 열려 있다. 노태웅의 작품이 가지는 첫 번째 미덕은 바로 이러한 진솔함인데, 그 진솔함이 바탕이 된 작품에서 예기치 않은 잊어버리고 살았던 감정을 만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그 감정이 상투적으로 살지 않으려는 자존 伯存)'의 문제를 상기시킬 수 있다면 그의 마음에 아주 조금은 다가선 것이다.
 
머리가 아니다.
감각과 기술이 바탕인 자본의 제국에서 마음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의외로 드물다. 매뉴얼과 자본의 강제가 우선하고 나를 감싼 주변의 시선이 먼저이기 때문이다. 누가 보고 있을 때 하는 것은 누구나 하는 일이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누가 보고 있지 않더라도 누가 시키지 않더라도 묵묵히 그 것을 해나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역시 다 마음이 하는 일이다. 그 마음이 숙명이 되고, 그 숙명이 진실이 되고, 그 진실이 나를 사랑할 수 있게 하고, 그 사랑으로 우리는 자유로울 수 있다. 이제까지 우리는 개념과 해석이 현대미술의 정령이라 생각했고 교육 받았다. 이러한 교육적 관념을 가진 세대들에게 노태웅의 작품은 고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도 있겠지만 이 역시 상투적인 생각이며 마음을 열고 그의 작품에 다가서지 못한 경우이다. 마음으로 그의 화면을 볼 수 있다면 누군가를 부르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고, 부르지 않아도 되돌아보는 나를 마주할 수 있다. 예측을 깨뜨리거나 현란하거나 주목해 달라고 소리치지 않는 그의 작품은 무심하고도 예리한 고독을 들이닥치게 한다. 그 고독의 공간에서 우리는 진심을 토로할 수 있다. 그 공간을 혹은 마음을 요약하거나 해석하기는 나의 능력 밖의 일이며, 그저 마음을 다잡고 다시 다잡을 뿐이다. 그의 작품은 어떤 고백이다. 그 고백을 통해, 그 고백 안에서 미지의 세계를 만나고 자유로워진다. 이때 그의 작품은 해석이 아닌 체험이다. 익명의 사랑 같은 이 매력적인 체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반드시 독자적인 체험이다. 누군가가 대신해 줄 수 없는 완전히 개인적인 행위이고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다. 이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경험을 남에게 의탁하고 타인의 감정으로 받아들이며 살아간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우리는 전적으로 나의 정신세계와 마음으로 부딪쳐야 한다. 거기서 파생되는 미약한 파장과 진동을 경험할 때 자존이라는 진정한 의미를 각성할 수 있고,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노태웅의 작품은 화면상은 과거이지만 공간상은 나와 같이 있다.
 
다시, 마음이다.
그의 작품은 그와 닮아 정제되고 진중하다. 고도의 사색과 집약된 감정은 미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에 상관없이 공감할 수 있고, 사유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의 수도자적인 삶과 고독한 숙명을 지닌 예술가의 붓질이고 그것이 가치 있는 삶을 다져가는 과정이라는 작가의 고백이 함께하기 때문이다. 세속적 욕망이 어느 때보다도 예술가들을 부치기는 시대이고 자연스러운 시대에 삶과 예술 사이에서 진정한 자유의 계기를 찾아가는 그의 작품은 자본의 시대에 사람으로, 마음으로 회귀하려는 아주 작은 몸짓이다. 그 몸짓은 가식과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은 본연의 어떤 마음이며, 그 마음에 대한 동요이고 그 동요에 의한 행위이다. 오롯이 나의 마음을 부딪치는 작품. “친구든 원수든 감상자의 존재야 말로 최종적으로 작품의 가치를 실현하는 근거”라고 말했던 중국의 예술평론가인 인지난 선생의 말처럼 노태웅의 작품이 가지는 가치의 근거는 결국 우리의 몫일 것이며, 그 가치에 대한 검증은 학습된 지식이나 전문가에게 의탁한 감각보다는 각자의 마음이라는 돋보기를 비추는 것에서 부터다. 그리하여 진정으로 응축된 내면의 독백을 들을 수 있다면 우리는 이미 그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역시 마음으로 가능한 일이다. 그의 작품으로 인해 나의 2017년은 고독했지만 외롭지 않았다.
 
 박준헌(미술이론)
 
 
 
That which Is Impossible without the Heart - on Roh Tae-woong's Work
 

The heart is important. Everything depends on the way in which we approach it from our mind. The world can be achieved or destroyed depending on the mind.
Things done with the mind and heart are different. We do things without orders from others or others watch us if we want. The mind is the basis for everything, and we can live with this mind.
 
Not the eyes
Sensitivity in this era of SNS in which people use compressed language has greatly changed the way people consume arts. Movies and commercials rather than poems and novels represent the era, and the brilliant images changing several times in a second permeate our lives, making us accustomed to the pattern. Eyes are the organ serve as the basis for such senses. Seeing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the senses in this era, with the creed of capitalism telling us 'to see is
to consume underlies this base. I once described this era somewhere as the 'empire of the senses, the hell of techniques'. In the real world by using canvas and oil to make experiences meaningful, and to share with others, it is nearly impossible in such an era to foster sentimental shock or sensuous tokens, which have be invisible. Nevertheless, paper books of poetry are still arranged in the corner of big bookstores, and numerous artworks are still showcased in numerous exhibitions. They are all done by the heart and mind. Roh Tae-woon dispels the prejudice towards contemporary art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It is, in a sense, because the images remind us of nostalgia and our sentiments for nature, and it is also because in his works he minimizes the idea of contemporary art connected with knowledge and philosophy. Viewers don't need to rely on experts' explanations, assessments, or appraisals in understanding his works. Viewers just can accept it with their heart. I have to confess that maybe this critique is part dliche, unnecessary comments disrupting the genuine appreciation of his work. Great paintings flow beyond time and reality and make people reflect. Such works are usually the artist's sincere language and gesture of confession' containing the artist's heart. Such confession reveals itself, and at the same time erases itself, and opens up to us. The first virtue of Roh Tae-woong's works is the very sincerity, and through his works, based on th sincerity, we encounter unexpected and long-forgotten emotions. Furthermore, if emotions remind us of the problem of self-existence' by which we try to live free of convention, we are a little closer to his heart.
 
Not the head
Doing exactly what we desire is surprisingly rare in this empire of capital founded on sense and technology. This is because manuals and capital come first, while watchful eyes surround us. Most people are conscious of the eyes of others around them. However, we can meet people who do what they want without being conscious of others. This can be possible with the heart. The mind can be destiny, destiny can be truth, truth can make us love ourselves, and with love we can be free. So far, we have thought and been educated that concepts and interpretations are the spirit of contemporary arts. To a generation brought up on such educational ideas, Roh Tae-woong's works can be thought of as antiquated, however, this thought also arises from convention and is an example of not approaching his works with an open heart. If you can see his canvas with your heart and mind, you can hear someone call, and you can find yourself looking back without anyone calling you. His works, not breaking expectations, not being brilliant, nor calling for attention, force us to confront inattentive and acute solitude. In such a place of solitude, we can speak from our heart. It is beyond my ability to summarize or interpret the space or the mind. I just self-reflect again and again. His works are a certain confession Through the confession and in the confession he meets the unknown world and becomes free. At this time, his works do not require interpretation, but experience, a charming experience such as anonymous love. Appreciating artwork is definitely an independent experience. It is absolutely an individual action that cannot be done by others, and it is best known by the individual. It is unfortunate to have to rely on others and accept their appraisals in this precious experience. We should dive right into this experience with our heart and soul. By experiencing the faint waves and vibration of such an experience we can enjoy happiness and feel the genuine meaning self-existence. In that respect, the focal point of Roh Tae-woong's work is the past, but the space is with me in the present.
 
Once again, it is the heart
His works are refined and sedate just like him. Viewers can empathize with the heights of his contemplation and converged sentim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expert knowledge on art. It is possible thanks to the brushstrokes of the artist living like a monk and having solitude as his destiny, alongside his confession that it is the process of paving the way for a valuable life. In an era in which worldly desires seem natural and drive artists more than ever, his works, seeking genuine freedom between life and art, are small gestures to return to being human with a human heart in this era of capital. These gestures are intrinsic minds without being conscious of pretense and the judgment of others, or being uneasy about his mind, and acting on that uneasiness. These are works which strike at my heart in their full form. As Chinese art critic In jinan says "appreciators,if they are friends or enemies, are the basis to finally realize the value of artwork. In the end, we determine the value of Roh Tae-Woong's works, and the verification of that value begins from the magnifying glasses of each individual's heart rather than educated knowledge or the appraisal of experts. If we, accordingly, can hear the inner soliloquy condensed deeply, we have already shared the value. Our hearts make this possible. Thanks to his works, my 2017 was solitary, but not lonesome.
 
Park jun-hyeon (art theory)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