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9    업데이트: 19-08-23 09:16

평론

사물의 정태성, 현존성과 물성에 대한 사유_최병길(원광대학교 교수, 철학박사)
관리자 | 조회 763

사물의 정태성, 현존성과 물성에 대한 사유

 
노태웅의 회화세계는 리얼리즘이다. 그러나 그 리얼리즘은 충실한 재현으로서의 리얼리즘이 아니라 변형되고 축약된 제시로서의 리얼리즘인 것이다. 따라서 그 회화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렇듯이 변형된 리얼리즘의 의미론적 해석과 더불어 그 방법론적 기법을 고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맥락에서 성찰해야 할 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첫째, 의미론적 입장에서 그가 작품의 화면 전체에 걸쳐 즐겨 사용해온 흰색의 상징성과 그 자신 자아의 식과의 상관성, 둘째, 방법론 적 입장에서 붓의 터치를 거의 보여 주지 않는 독특한 운필법, 그리고 셋째, 화면 전체에 걸쳐 고루 유발 되는 두툼한 마티에르 효과의 시도이다.

첫째, 그가 특히 역 풍경이나 도시 변두리 주거밀집지역 같은 설경을 표현할 때 흰색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은 원색으로서의 흰색이 아니고 거기에는 노랑색이나 연두색이 약간 가미 되어 있다. 다분히 작가의 의도가 깔려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흰색이 상징하는 순수, 청결, 신성, 정직 등은 노란색 이나 연두색이 혼합된 흰색이 상징하는 점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여진다. 노란색의 상징성은 희망, 광명, 명랑, 유쾌로 나타나 있으며, 연두색의 상징성은 위안, 친애, 젊음, 신선등으로 나타나 있다. 그렇다면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혼합시킨 흰색을 사용함으로써 드러나는 색의 상징성은 그가 서민들의 애환어린 삶에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회화세계는 서민들의 애환 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리얼리티의 추구로 간주하고 싶다.

미술평론가 김윤수는 1993년 <노태웅의 작품전에 부쳐>라는 글에서 그러한 분위기를 일러 "도시 변두리 주민들의 삶의 현장을 냉정한 눈으로 바라보며 그 세계를 어떤 감정의 개입이나 판단을 유보한 채 잔인하리 만큼 객관적으로 그려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본인의 관점은 그와는 약간 다르다. 말하자면 그가 순수한 리얼리티에 의거하여 풍경, 특히 도시 변두리의 가난한 서민들의 애환을 그려내는 것은 분명 하지만, 그는 그 자체에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김윤수는 작가가 자신 감정의 개입이나 판단을 유보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본인은 그와는 정반대의 시각을 갖고 있다. 즉 작가가 오히려 적극적인 호소력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화면 전체에 걸쳐 노랑색이나 연두색이 가미된 횐색을 사용한 점은 이 색상이 상징하는 의미를 작품 전체의 맥락에서 걸쳐 강렬하게 시사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우리가 마치 어릴 적에 색안경을 쓰고 경치를 감상했던 경우처럼 관람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방편이거나 아니면 모든 세계를 색안경의 색으로 미화 시키려는 의도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의 이러한 색조는 작품에서 전체적인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 이미지는 풍경의 적막감이 감도는 정취이다. 그러므로 그의 회화에서 사물의 동적인 상태는 거의 표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며, 오로지 이 순간 이 풍경이라는 사물의 시공간적 즉각성이라는 울타리 내에 사물들이 꽁꽁 얼어붙은 듯이 응결해 있는 것이다. 그가 표현하는 사물들은 한순간에 포착한 시각에 의하여 순간의 시간성에 묶여버린 듯하며, 그것은 사물이 응고된 듯하다는 이미지로써 사유적인 관념 세계로 우리를 안내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평론가 신항섭은 그의 <1991년 개인전 서문>에서 그러한 관점을 일러 "정지된 시간의 시각화"라고 본 관점과 유사하다 하겠다. 그 분위기는 분명히 적막하고 적요스러우며 극히 정태적이다. 그러나 본인은 그러한 시각만이 그가 의도하는 전체로서의 이미지라고는 보지 않는다. 그가 표출해내는 그 사물들은 순간성, 즉각성 혹은 현존성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고, 오히려 영원성이나 사유세계로 승화되는 듯한 착각을 유발시키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물리학에서는 질주하는 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그것이 정지에너지와 더불어 운동에너지도 지니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가 사물의 정지된 순간을 포착하여 그려낸다 함은 그 사물을 무생명적 차원이 아니라 에너지가 듬뿍 암시되고 내재된 차원의 사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꽃의 표현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는 꽃 하나하나의 동태와 에너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지 주위 풍광과의 조화에는 도무지 관심이 없는 것이다. 항구의 표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이다. 그 항구는 출렁이는 파도나 저 멀리 펼쳐지는 바다와 하늘과의 수평선 따위를 표현해 내는 리얼리즘 적인 풍경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는 사물의 현상 저너머에 있는 본질이나 에너지를 찾아가는 것이다. 그는 그 사물들을 통하여 관람자에게 마치 인상적인 풍경으로부터 반어적이고 역설적이며 살아있는 사유적 활동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본인은 그 방법론에 있어서 그의 독특한 운필법을 거론하고자 한다. 그가 사용하는 물감들의 색상은 중간색 톤, 그 중에서도 특히 갈색과 황토색 계통이 주류를 이루는데, 그것은 한편으로 물흐르는 듯한 매끄 러운 느낌을 시사해 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육중한 맛도 풍겨난다. 소재에 있어서는 풍경이 대부분이지만 백합, 맨드라미, 목련, 해바라기등 꽃을 소재로 한 작품들도 보여지며 요즘에는 중국기행을 통하여 스케치한 중국의 심산유곡도 표현해 내고 있다. 여기서 그의 운필법의 독특함을 발견케 된다. 특히 설경을 보면 흰색이 화면에 자연스럽게 정착된 기법에서 그 독특함이 엿보인다는 것이다. 그 방식으로 이내 생겨나는 효과는 크게 두가지점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하나는 그것이 자연 현상을 그대로 표현기법으로 원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마치 눈이 강하하여 쌓이는 모습처럼 붓으로 눈의 색채를 화면에 수직으로 찍듯이 채색하는 방식인 것이다. 그러므로 인해 그의 설경은 눈이 자연스럽게 수북히 쌓인 듯한 인상을 시사해 준다. 그것의 특징은 마치 점묘법의 연장선상에서도 말할 수 있겠는데, 사물들간의 색상대비적인 조화감이 생성되는 연유이기도 한 것이다. 또 하나는 사물의 입체성 혹은 본질이 면들의 연속으로 파악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가 그러한 기법을 활용한 연유로 사물들의 구분을 위해서 구태여 윤곽선을 별도로 그을 필요가 없어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가 사물의 해석에 있어 색채 우선 주의를 택했으면서도 형태 우선주의적 관점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게 되는 이중적인 효과를 보게 된 것이며, 그가 원근법을 크게 고려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원근 법이 완전히 무시되어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물들의 경계를 지우는 윤곽성이 거의 없고 그것이 색들의 대비로 환원되어 있다는 점이 그의 회화세계의 특징인 것이다. 또한 그의 붓의 터치에 의한 사물의 세부 표현에는 거의 신경을 쓰고 있지 않다. 붓이나 나이프로 문지르는 통상적인 운필법이 지양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의 눈의 경우 뿐만아니라 모든 사물의 표현에 있어서도 마치 솜방망이에 물감을 묻혀 화면에 인쇄하듯이 찍어가며 채색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솜방망이 대신 붓을 택했을 뿐이다. 그런 연유로 풍경이 화폭에 잠기어 있는 듯하다든지 아니면 점묘법을 원용함으로 인해 둥글둥글하고 온유한 사물 형태의 이미지가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작품들이 전체적으로 한국 풍경의 은은한 맛, 토속적인 정취를 발산시키고 있는 것이다.

셋째, 화면 전체에 걸쳐 부드러우면서도 두툼한 마티에르 효과가 유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말로는 "대리석 가루를 화면 위에 접착제로 응고시킨 것"이라고 하는데, 그것으로 인해 차분하고 절제된 색채와 정적이 감도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따라서 작품들이 앙리루소의 풍경화나 신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을 현상시킨다. 요즘 화가들이 화면에 모래를 부착시키고 채색하는 기법이 널리 상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물감과 모래의 물성이 판이하므로 자칫 양자가 불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대리석 가루는 캔버스천과의 첩착성, 물감과의 상응성과 삼투성이 모래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거기에 표현된 사물들의 부드러운 질감과 양감을 한층 더 유발시키는 효과 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물감을 팔렛트에서 혼합했을 때 물감의 명도와 채도가 화면에 채색하고 난 이후 물감의 명도와 채도와는 많은 차이가 생긴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대리석 가루가 물감과 기름을 일부 흡수하므로써 화면이 전체적으로 물을 머금은 듯한 수채화의 분위기를 자아내거나 아니면 사물 자체의 육중한 무게감과 더불어 예리하지 않고 둥글둥글한 사물 윤곽도 들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그가 화면 바탕에 이 가루를 부착시킴으로써 예리하거나 둔착한 자국이 남는 붓터치 효과를 자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단점으로 인해 오히려 그는 한국 풍경의 온화하고 한가로운 토속성과 서정성을 표현 할 수 있게 된것이며, 이것을 시적 차원으로 격상시키는 효과도 얻고 있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노태웅의 회화세계는 한국 풍경을 재현적으로 표현하는 리얼리즘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그 독특한 색채 운용과 상징성 부여, 판화기법 같은 운필법, 그리고 접착된 대리석 가루 위에 물감의 충적에 의한 인위적인 마티에르 효과를 통하여 그 자신의 내면성을 자연풍광에 이입시키고 있다고 보여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회화를 단순한 리얼리즘으로 단정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는 사물의 정태적 순간의 포착에 단순히 머물러 있지 아니하고 거기에 의미적 측면에서나 물성적 측면에서도 정지 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암시함으로써 한국 풍경, 특히 도시 서민들의 애환을 그려내고 있지만 그 토속성 위에 자신의 관심과 애정을 색채 우선주의적 입장에서 투영시키고 있는 것이다.

 
최병길(원광대학교 교수, 철학박사)


 
Contemplation on Object's Statics,
Existence and Material Property

 
 
The world of RHO, Tae-Woong's painting is realism. The realism, however, is not one as a faithful representation, but one as a deformed and retrenched presentation. And so it seems to be proper that we survey his methodical technique as well as semantic interpretation of such a deformed realism so as to understand the world of his painting. The points we have to consider into from that context can be widely summarized into three. Firstly, from the semantic standpoint, symbolization of white color that he has fondly u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ork and its relation with his inner consciousness, secondly, from the methodical standpoint, a creative method nearly not to show brushstroke, and
thirdly, a trial of thick matiere effect created over the entire surface.

Firstly, in case that he especially expresses a snowy scene like a landscape of the railroad or the resident regions in the outskirt, he uses mainly white color, but it is not one as a primary color, only as slightly added yellow or yellow-green color. Wherein is contained the artist's implication. Therefore, purity, cleanness, sacredness honesty, etc. that white color symbolizes can not but be different from symbolization of white color that yellow or green color is added. Symbolization of yellow color is hope, light, brightness, pleasure, and that of green one is consolation, affection, youth, freshness, etc. If so, symbolization of color hinted by using white color added yellow or green color can be uttered as suggestion of hope and vision to the common people's hard life. Therefore, I would like to regard it that the world of his painting is not a pursuit of reality to represent the common people's life as it were, but a pursuit of deformed and abbreviated reality to make be immanent the meaning of hope and consolation there.

An art critic KIM Yoon-Su has once stated that the artist has seen the living scene of the residents in the outskirt with a keen sight from such an atmosphere and has depicted the world in a thoroughly realistical viewpoint without intervention or judgment of a certain feeling, in an article, 〈Dedicated to RHO Tae Woong's Exhibition), 1993. But, my standpoint is slightly different from his. So to speak, it is vivid that he has drawn landscape, in particular, hardship of the poor common people's life in the outskirt on the basis of pure reality, but he does not seem to be satisfactory to that. KIM, Yoon-Su sees that the artist deferrs intervention or judgment of his own feeling, but I have an idea quite opposite from his viewpoint. Thatis, I see that the artist rather suggests a positive appeal and vision. For what he uses white color added yellow or green one over the entire screen implies that he wishes to strongly suggest the meaning that this color symbolizes over the entire context of a work. And also it perhaps is a method to induce the seer's sight as if we had appreciated the scenary with the colored glasses in our childhood or an inclination that he wishes to beautify all the world with color of the colored glasses.

His colors of this kind serves to create a whole image of the work. The image is sentiment covered with calmness of landscape. Therefore the dynamic state is not nearly depicted in his painting, and only the objects are tightly frozen within the fence, i.e. the temporal and spatial immediacy like the seized scene in a moment. The objects that he represents seem to be obsessed in an instant time by a sight catched in a moment which leads us to the ideal world of contemplation with an image that the object seems to be frozen. It is similar to an art critic SHIN, Hang-Seob's viewpoint that he has seen such a point as "visualization of halted time in his Introduction of One Man Exhibition, 1991). The atmosphere is clearly calm, quiet and extremely static. But I do not see that only such a sight is an image as a whole that he implies to.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objects that he represents do not remain as instantaneousness, immediacy or existence, but they rather induce illusion seeming to be sublimated into eternity or to the world of contemplation. For, in physics, a car has both kinetic energy of flowers, when it gallops and stops in an instant. And so what he has grasped at and drawn an object in a halt moment illustrates that we have to realize the object not as level of inorganic entity, but as level of suggesting and containing full of energy. This view is quitely appeared. He is concerned with movement and energy of flower separately, and he does not entirely throw his concern into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It is same in expressing a seaport. It is far from a landscape of realism which expresses the lapping waves or the horizon between the sea and sky from a distance. He is looking for essence or energy existing beyond appearance of an object. It seems that he asks the seer for a contemplative activity being ironical, paradoxical and active from the everyday landscape through the objects.

Secondly. I am about to utter his creative technique to use the brush in its methodology. Hue of the paints that he uses is centered on the neutral tint, in particular, brown color, which, one hand, suggests a feeling of smoothness as if a running water, and, on the other, a feeling of weight. In subject matter, it is most consisted of the scenery, but it is reduced into the flowers like lily, cockscomb, magnolia, sunflower, etc. and nowadays he expresses Chinese high mountains and secluded valleys sketched through a journey to China. Here we can find his creativity in technique of brushstroke. In particular, as for a landscape, it is said to be creative in technique that white color is naturally fixed on the canvas. The effects produced by such a method can be widely summarized into two points. One is that he utilizes nature's phenomenon as it were for expression technique. Namely, it is a method to paint, i.e. to mark vertically, the color of snow with brush, as if a shape that snow falls down and piles up. By doing so, his snowy landscape gives us an impress that snow naturally piled up heapily. Its character can be uttered from an extension of pointillism, which is also a cause that produces a feeling of harmony through hue contrast between the objects. Another is that three dimensionality or essence of an object is grasped as continuation of the planes. He has no need to draw another outline in order to tell from the objects, for he has used such a technique. And he has given priority to color in interpreting the object, but he has not entirely removed from the standpoint of form, by which he has acquired the dual effects, and the perspective is not wholly neglected, even though he had not quit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herefore the outlines delimiting the objects do not almost appear and they are changed into contrast of colors which constitutes a character of his paintings. And he does not nearly pay concern on the details of the object by brushstroke. It is said that he has sublated a common technique of brushstroke to rub with brush or knife. Only uses technique of painting as if printing with a cotton club stained with the paints as for every object as well as for snow. He has only changed the cotton club into brush. For this reason, it is produced an image that the scenery perhaps absorbed into the canvas or form of the object has transformed into a round and mild one by utilizing pointillism. Thus the whole works give off a faint taste and local sentiment of Korean scenery.

Thirdly, it is produced a smooth and thick matiere effect over the whole surface. By his remark, it is said that he has stuck marble powder on the canvas with an adhesive, by which it is created the composed temperate colors and a tranquil atmosphere. Therefore, the works associate with Henri Rousseau's landscape or Neoimpressinists'. In recent days, it has been popular that the artists have stuck sand on the canvas and painted, but the two is lia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the material property of color and sand is widely different. But, marble powder is better than sand in its sticking attribute to a cloth of canvas, its corresponding one with the paints and permeability, by which he has become to acquire an effect to produce the objects' smooth texture and volume expressed there. And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lightness and saturation in case of mixing the paints in the pallette become to be more different from them after painting on the canvas. And also the screen as a whole produces an atmosphere of water painting seeming to contain water or a dull and round contour as well as heavy weight of the object itself, for marble powder absorbs at a part of the paints and oil. And he will have met with limitation in creating the brushstroke effect making remain sharp or dull trace by sticking this powder to the screen, but rather he has become to represent of mild and unoccupied localism and lyricism of Korean scenery by this weakpoint, and he has got an effect to upgrade this level to a poetic one.

In conclusion, the world of RHO, Tae-Woong's painting is based on realism to representationally express Korean landscape. But it seems that he has empathized his inner property into the scenery through a creative usage of colors, an endowment of symbolization, a technique of brushstroke like printing, and an artificial matiere effect produced by accumulating the paints on the stuck marble powder. Therefore the world of his painting can not be regarded as a simple realism. He does not simply remain in grasping at am static moment of the object, and he has drawn Korean scenery, especially, the civil common people's hardship, but he has thrown his own concern and affection into its localism on the standpoint of giving priority to color by suggesting both potential energy and kinetic one from the semantics and material property.

 
CHOI, Byung-Kil I Prof. in Won Kwang Univ., Ph. D.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