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9    업데이트: 19-08-23 09:16

평론

노태웅 작품전에_신항섭(미술평론가) - On the Exhibition by Rho, Tae-woong
관리자 | 조회 808

노태웅 작품전에

 
지난 1월 19일부터 22일까지 도쿄 국제무역박람회장에서 열린 [도쿄.인터내셔널.아트쇼]를 관람했다. 이 전 시는 국제 미술견본시로서 순수미술(Fine Arts)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소수의 한국작가들도 참가했다. 그중에 노태웅(魯泰雄)이 [마쓰가와 갤러리]를 통해 출품하여 관람객들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었을뿐만 아니라, 작품판매에서도 적지않은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의 작품이 이처럼 일본 미술대호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작품적인 완성도와 함께 새로운 미적 정서를 찾아볼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주지하다시피 그의 작품은 일반적인 캔바스가 아닌, 캔바스에다 모래를 고착시킨 독특한 소지(素地)위에 그림을 그리는 색다른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모래를 이용하기 때문에 새롭다는 의미는 아니다. 모래의 사용은 표면 질감의 균질화라는 새로운 미적 해석 의 근거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서양화에서의 마티엘은 사실주의 이후 중요한 표현수단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일테면 마티엘은 작가의 감정의 피부와 같은 의미로써 이해되며, 실제로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마티엘, 즉 질감은 작가의 감정상태를 분석 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그의 작품의 경우 모래에 의한 균질화된 화면에서 마티엘 효과는 오히려 억제된다. 마티엘 효과를 위해 모래를 사용한 것은 아닌 까닭이다. 어느 면에서 그 자신의 감정상태를 철저히 은폐시키기 위해 균질화된 화면, 즉 모래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했다는 심증이 강하다. 다시말하면 작가 자신의 감정표현을 담지 않으려는 의도로써 붓자국의 표현이 용이하지 않은 모래를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모래에 의해 균질화된 표면질감은 화면의 구조적인 안정감뿐만 아니라, 표현의지를 화면 전체에 균등 하게 분배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미적 정서는 순수. 정적. 침묵 등이다.

그의 그림은 사실적인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생략적이고 함축적임을 알 수 있다. 보다 설명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적 형상들은 감춰진다. 자신의 조형논리에 필요한 이미지들로만 짜여진 지극히 선택적인 화면 구성은 통일된 공간을 허용한다. 여기서의 통일공간은 생략적이고 함축적인 이미지의 간결함으로 가시화된다.

바꾸어말하면 비표현성을 강화함으로써 표면질감의 균질화에 상응하는 단순하고 요약된 사실적 이미지를 남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생략. 단순. 간결한 이미지는 사물을 한가지 색깔로 통일했을 때 느낄 수 있는 통 일감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의 그림은 정지된 시간의 시각화라는 인상이 짙다. 사실적인 이미지이면서도 거기에는 아무런 움직임도 느껴 지지 않는다. 바람도, 시간도, 삶도 그리고 일체의 사유마저도 정지된 진공상태라고나 할까, 또는 TV를 통해 처음 보았던 월면(月面)의 인상과 흡사하다고나 할까.

이처럼 차가운 객관화를 일찌기 본 일이 없다. 그의 그림에는 작가의 뜨거운 감정이 담겨있지 않다. 모래를 뿌려 놓은 듯한 침묵은 우리에게 낯선 느낌으로 다가온다. 과거도 미래도 아닌 바로 오늘 우리들의 삶의 현장이건만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차가운 객관성 탓이다.

하지만 그림의 표정은 순수미에 겨냥되고 있다. 모든 움직임이 일시에 정지된 듯한 그 차가운 형상속에 담겨진 대상의 순수함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편견없이 바라볼 수 있는 실체로서의 대상에 주어지는 순수미는 새삼 우리의 시각을 관조의 세계로 이끈다.

정화(淨化)된 풍경이라고나 할까. 사물이 지닌 본래의 순수한 모습을 그는 회화적인 논법으로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순일한 표면 질감과 간결한 채색, 그리고 평면화되고 있는 사실적 이미지등이 그의 조형어법을 형성하는 표현 단위들이다.
예사로운 일상적 풍경을 전혀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그의 그림이 지닌 비밀은 무엇일까. 극단적인 채도 및 명도에 기인한 색채대비, 햇빛과 그림자에 의해 명확하게 떨어지는 강력한 사실적 이미지에 묘의가 있다. 사실적인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회화적인 표현성의 강조에 그 원인이 있다. 여름 한낮 어두운 실내에서 밖으로 나왔을 때 느끼는 눈부심 속에 떠오르는 그 적요한 인상에 바유할 수 있지 않을까. 강렬한 햇살에 의해 사실성은 시야 밖으로 밀려나고 퇴색한 듯한 풍경이 시야로 뛰어드는 체험과 마주 했을 때의 그 짤막한 충격이 그의 그림속에 내재하는 또 다른 정서이다. 그의 그림은 확실히 종래의 여타 작품들과 비교되지 않는 개별적인 정서를 갖고 있다. 그같은 새로운 체험이야 말로 예술표현의 당위성이 아닐까?

신 항 섭(미술평론가)


 
 
On the Exhibition by Rho, Tae-woong

 
 I had a chance to see the Tokyo International Art Show' at the Tokyo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 held from January 19 through  22. Planned as an international art fair this show was mainly composed of fine arts works, and the works of several Korean artists were also presented. Among them, Rho's paintings submitted through Matsukawa Gallery not only enjoyed a favorable acceptance from general viewers but succeeded in sales.

 I think that the reason why his works were highly appraised by Japanese people is due to the new aesthetic sentiment and completeness as art work. Rho's paintings are not executed on common canvases but shows a special technic of daubing sand on the surface of canvas. I am not suggesting that using sand itself necessarily means a newness. In his paintings, this technic makes possible another aesthetic interpretation, that is the uniform surface texture.
Matière in western painting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expressive means after the advent of Realism. That is, matière would be understood as the skin of painter's emotion. In reality, matière or texture provides clues to the study of painter's emotional condition.

 However, the effect of matière in Rho's painting is rather restrained because of the uniform and flat surface texture. He does not use sand solely for the textural effect. On the contrary, it seems that he makes use of the material quality of sand in order to camouflage his emotion by applying sand flat. In other words, he uses sand purpose of restraining emotion admitting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brush strokes on sand-covered surface.

 Homogenized texture of sand ensur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picture and brings about the effect of distributing expressive intent evenly on picture plane. From this effect, we may feel aestheticism of purity, tranquility, and silence.

 Although Rho's paintings deal with realistic images, these images are suggestive and simplified. In the same way, narrative and detailed forms get disappeared. He induces a harmony of space by selective composition which conforms to his own formal logics.
In other words, he makes realistic but simplified images which are in accord with uniform texture by holding back expressiveness. These simplified forms are much more strengthened when they are painted in similar tones.

 Rho's paintings are the visualization of suspended moment. Although he depicts natural forms, there is no feeling of movement. I would like to put this situation as a vacuum in which wind, time, and life are all stopped, or as the image of the moon which we have seen for first time through TV screen.

 I have never seen such a cold hearted objective depiction. There is no hot emotion in Rho's works. Silence which is spread over sand covered canvas comes closer to us like a stranger. He depicts neither the past nor the fature but the aspect of our own life. But we feel alienated from the scene because of the apathetic attitude of him.
Nevertheless, his paintings are focused on the purity of form. He reinforces the purity which is contained in a suspended moment and cool shapes. Aesthetic purity of objects which can be appreciated without any prejudices, leads our vi sion toward the world of contemplation.

 I might say that the scene in his painting is a kind of purified world. Rho translates the intrinsic image of nature into a pure form by his own logical vision. Monotonous texture, simple colors and flattened shapes are the elements of his formal language. What is it that allows us perceive quite an ordinary scene in an unexpected way?
We can find the answer in the extreme contrast in roma and value, and in the drastic depiction of light and shadow. Despite of the natural image, we are apt to feel unreality from it This strange feeling could be compared to the bright impression that we experience when coming out from dark indoors suddenly into a sunny daylight. Faced to Rho's paintings, we experience another sensation that the reality disappears and the faded scene comes into our vision by the effect of strong sunlight.
Rho's painting undoubtedly has an original acs- theticism which can not be compared with works of other's. I believe that this kind of different ex perience is what we look after in art.

 

Shin, Hang-sub
(Art Critic)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