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161    업데이트: 17-06-10 00:55

한자의 고사

문장을 고칠 때 정말 칼을 대었단 말인가?
아트코리아 | 조회 734

 

 

2009/4/21

“刪字 

   

 

漢字의 옛이야기

 吳東平

 

  중국작가 오동평의 <한자의 옛이야기>를 매일 번역을 합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정윤수님과 송흥기님을 보면서 저도 한번 도전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한자의 옛이야기>는 중국

 음운학과 훈고학을 전공하신 오동평 교수의 저작입니다.  2006년 6월에 출간된 이 책에는 한자의 획의

순서에 따라 한자씩 이야기해나갑니다. <한자의 옛이야기>에서는 한 필에 담긴 옛이야기 들려주고

 한 획속의 맺혀있는 세계를 보여줍니다. 글자 한자한자 속에 담긴 옛이야기를 통해 한자의 깊은

 의미를 알려줍니다. 오동평과 함께하는 한자 옛이야기에 깊은 관심을 바랍니다.   민승준/     

  

    吳東平님의 漢字의 故事  http://data.book.hexun.com/book-368.shtml 

오수형님의 한자이야기  http://blog.daum.net/woobo21 

 

 

 

 

修改文章真的要用刀吗

문장을 수정할 때 정말 칼을 대야 하는가?

“删”字

 

  “删”字的左边是“册”,右边是一把“刀”。

“册”本是中国古代把竹简或木牍用丝绳或牛皮绳编起来的书籍。

“书”与“刀”怎么联系在一起的呢?修改文章真的要用刀吗?

这的确是一个有趣的问题。

 

“删”자의 왼쪽은 '책'이고 오른쪽은 '칼' 한자루이다.

“删”은 본래 중국고대 죽간이나 목독을 실이나 소가죽끈으로 엮은 서적이다.

'책'과 '칼'이 어떻게 같이 연계되어 있는가

문장을 고칠 때 정말 칼을 대었단 말인가?

이것은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거리이다.

 

  《说文解字•刀部》:“删,也。从刀、册。册,书也。”

“ ”读duō,“削”、“刮”的意思。难道是用刀在书上刮、剥吗?

确实如此。在我们今天看来,用刀在书上刮必将把书弄坏,似乎不可思议。

我们现在做文章、修改文章均用笔,而古人要把竹简上的错字改正,

把多余的字去掉,不是一件轻而易举的事。

 

 

用水擦是擦不掉的,因为黑色的墨汁浸入竹片或木片内后难擦掉,

竹简又那么狭窄,容不得任意涂改,唯一的办法就是用刀子把那些写错的字或多余的字刮去,

然后重写。将多余的字或错字刮去,就叫删,即为“删削”。这也是“删”的本义。

 

 

如《汉书•律历志》:“故删其伪辞,取正义著于篇。”

其意思是:在刮去那些错误部分的同时,还要保留那些正确的部分。

由此“删”引申为“取舍”。

 

 

 

  南唐徐锴《说文系传》说:

“古以简牍,故曰孔子删《诗》、《书》,言有所取舍也。”

其意思是,古人使用的是简牍,因此人们常说的孔子删《诗》、《书》叫“删”,

所谓“删”就是孔子用刀子刮去《诗》、《书》中的在孔子看来不必要的东西,保留其中的精华部分

 

正如段玉裁在《说文解字注》中所说:

“凡言删者,有所去即有所取。”“删”字在甲骨文中就出现了。

(参见陈炜湛《汉字古今谈》第64页)

 

쳔웨이션 <한자고금담> p.64 참조

 

 

这一事实足以证明在竹简上删削修改文辞之事在殷商时代就已出现了。

商代甲骨文是用刀刻在龟甲兽骨上的一种文字,要改掉其中的错误。

只能用刀将其刮掉后再刻。据学者们考证,有的甲骨文字是用笔写在龟甲兽骨上的。

即使是写的文字,要修改,仍要用刀。这就是刀笔并用了。

 

 

 

古人制作简册、书史记事、传递命令除了用笔外,手头还得备有刀才行,

也就是必须刀笔俱备,缺一不可。

不仅要精通写字作文的“笔法”,而且还要熟悉删削简牍的“刀法”。

由于古人写作时常常刀笔并用,因此,“刀笔”便成了书写工具的泛称,

也指那些以“刀笔”为业的官员,即“刀笔吏”。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