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161    업데이트: 17-06-10 00:55

한자의 고사

대머리는 수재이다?
아트코리아 | 조회 685

 

 

2009/4/18

“禿字 

 

 

 

漢字의 옛이야기

 吳東平

 

  중국작가 오동평의 <한자의 옛이야기>를 매일 번역을 합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정윤수님과 송흥기님을 보면서 저도 한번 도전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한자의 옛이야기>는 중국

 음운학과 훈고학을 전공하신 오동평 교수의 저작입니다.  2006년 6월에 출간된 이 책에는 한자의 획의

순서에 따라 한자씩 이야기해나갑니다. <한자의 옛이야기>에서는 한 필에 담긴 옛이야기 들려주고

 한 획속의 맺혀있는 세계를 보여줍니다. 글자 한자한자 속에 담긴 옛이야기를 통해 한자의 깊은

 의미를 알려줍니다. 오동평과 함께하는 한자 옛이야기에 깊은 관심을 바랍니다.   민승준/     

  

    吳東平님의 漢字의 故事  http://data.book.hexun.com/book-368.shtml 

오수형님의 한자이야기  http://blog.daum.net/woobo21 

 

 

 

“秃顶”与“秀才”

대머리 와 수재

“秃”、“秀”

 

  “秃”字的初义是指人头上没有毛发。

《说文解字•秃部》:“秃,无发也。从人,上象禾粟之形。”

这就是说“秃”是会意字,是由“禾”字和“几”(人蹲下之形)字构成。

有人则认为“禾”在这里表示农作物的上端受到病害的危害或阳光过度暴晒,

使禾穗及顶端的枝叶脱落,只剩下一根禾杆,变得光秃秃的。

如果人头上的毛发因病或其他原因脱落光了,没有一根头发,

形成了一个光顶,犹如光秃秃的禾杆,这就是“秃”。

 

“秃”자는 사람머리위에 머리털이 없다는 뜻이었다.

<설문해자 禿부>

“秃,无发也。从人,上象禾粟之形。”

“禾”자와 사람이 꿇어앉은 모양의 “几”자로 구성되었다.

이는 “禿”자가 회의자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어떤 이는 “禾”가 농작물의 맨 위부분이 학대를 받거나

태양을 과도하게 받아 말라버린 것을 표시한다고 생각했다.

벼이삭및 꼭대기 부분의 잎사귀가 떨어져 버리고 줄기만 남게 되어 대머리로 변해다는 것이다.

만약 사람의 머리카락에 문제가 있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한 가닥의 머리털도 없다면

바로 대머리가 되는데 마치 벼이삭의 벗겨진 줄기와 같다.

이것이 바로 “禿”이다.

  [tū dǐng]  독두 대머리

 

  古人秃头的现象,在古籍中多有记载。

《吕氏春秋•尽数》:“轻水所多,秃与瘿人。”

高诱注:“秃,无发也。”

其意思是:水中含盐分及其他矿物质过少的地方,

多有头上无发或颈上长瘤的人。

《谷梁传•成公元年》:

“各使秃者御(迎接)秃者,使眇者御(迎接)眇者,跛者御(迎接)跛者。”

 

옛 사람들의 대머리 모습들은 옛 서적들 중에서 많이 보여진다.

<여씨춘추 진수><곡량전 성공원년>

 

 

 

  许慎《说文解字•秃部》引王育说:

“仓颉出,见秃人伏禾中,因以制字,未知其审。”

许慎在这里又附会出了古人造“秃”字的神话:

据王育说,古代造字者仓颉出世后,

一天看见一个头上无发的人趴伏在禾麦之中,

受其启发而造“秃”字,至于其他情况不得而知。

 

 

此说自然是受汉字为仓颉所造之说的影响。

其实,“仓颉”何许人也,是人是神,众说纷纭。

这种说法当然不可信。段玉裁认为“秃”与“秀”古为一字,并同音。

他在《说文解字•秃部》的注中说:

“其实秀与秃,古无二字,殆小篆始分之,今人秃顶亦曰秀顶是古遗语。”

 

이 설은 자연히 한자 창힐이 한자를 창제했다는 설의 영향을 받았다.

사실 창힐은 사람인지 신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秃”是如何变成“秀”的呢?

此事为东汉许慎所为。许慎所处的时代,为东汉光武帝刘秀当权之时,

许慎在著《说文解字》时为了避刘秀之讳,就将“秀”改为“秃”,

因而后人称“秃顶”为“秀顶”。现在有些方言中仍有人将“秃顶”写为“秀顶”。

 

“禿” 대머리는 어떻게 변해서 “秀” 수재가 된 것일까?

 

 

 

  不过,读者应该明白,“秃顶”写作“秀顶”只是因为“秃”、“秀”二字同音所致,

它们在意义上相去甚远。许慎因为要避刘秀的讳,

所以他在《说文解字•禾部》中对“秀”没作解释,只是说:

“秀,上讳。”因此造成以后的文字学家对“秀”的本义其说不一。

 

《尔雅•释草》:“木谓之花,草谓之荣,不荣而实谓之秀。”这里的“荣”指花。

南唐徐锴在《说文系传》中说:“秀,禾实也,有实之象,下垂也。”

上述解释告诉我们,“秀”是指禾本科植物抽穗扬花的阶段。

由于禾本科植物的花没有花被,没有通常意义上的花,所以古人便将它称为“秀”。

 

 

如《论语•子罕》:“苗而不秀者有矣夫?秀而不实者有矣夫?”

其意思是:庄稼生长过程中,不吐穗开花的有吗?吐穗开花了却不结实的植物有吗?

  由于“秀”指植物抽穗扬花的阶段,也是植物成熟和最有希望的阶段,

所以引申为特别优异或状貌特别出众。

 

 

如《楚辞•大招》:“容则秀雅,朱颜只。”

王逸注:“言美女仪容闲雅,动有法则,秀异于人。”

历史上曾称德才优异者为“秀才”,到了汉朝将“秀才”定为举士的科目,

后又因避刘秀的讳将“秀才”一度改为“茂才”,三国魏后又复称“秀才”,一直沿用至明清。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