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38    업데이트: 24-03-26 13:33

매일신문

[이인숙의 옛그림 예찬]윤덕희(1685-1766) ‘말을 탄 여인’
아트코리아 | 조회 259
미술사 연구자


종이에 채색. 84.5×7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드물게 여성이 주인공인 조선시대 그림으로 말을 탄 모습을 그렸다. 미인도이면서 준마도인 마상미인도(馬上美人圖)는 명마와 미인이라는 선망하는 두 대상에 대한 시각적 즐거움을 남성 감상자에게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그림이다. 영조시대에 윤덕희가 그린 '말을 탄 여인'은 "병진년 여름 백련포옹(白蓮逋翁)이 그려서 둘째 아들 용(熔)에게 준다"는 낙관이 없었다면 중국 그림으로 여겨질 만큼 중국 미인도풍이다. 인장엔 윤덕희의 당호 '회심루(會心樓)'와 자(字)인 '경백(敬伯)'이 새겨져 있다.

여인(麗人), 가인(佳人) 그림은 중국 당나라 때부터 부인, 부녀, 사녀(士女), 미인, 기라(綺羅), 빈장(嬪嬙) 등으로 불리다 송나라 때부터 사녀화(仕女畵)로 분류되며 다양한 양식으로 아름다운 여성이 그려졌다. 기녀를 그린 조선시대 미인도는 신윤복 이후의 그림이 몇 점 알려져 있지만 하나의 장르로 구분할 만큼 많이 그려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것은 미인도의 주문 또는 제작, 감상, 소장 등의 행위가 공공연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여색(女色)은 경계의 대상이었고 미인도에 대한 언급 또한 인격 관리에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었다.[close]미인은 서양과 동양에서 모두 그려졌으나 그 외피는 달랐다. 인상파 이전의 서양미술사에서 미인은 신화 속 여신으로 등장하며 누드화로 그려졌고, 한자문화권에서는 여성이 등장하는 역사적이거나 문학적인 내용을 그리는 고사화(故事畵), 감계화(鑑戒畵)가 일종의 미인도로 그려지기도 했다. 미인도를 감상할 명분이 필요했다는 점은 같았다.

'말을 탄 여인'은 흉노에게 시집보내졌던 한나라 원제의 후궁 왕소군(王昭君)의 고사를 그린 것 같다. 주인공은 상반신을 살짝 뒤로 돌려 얼굴을 내보이면서 고개를 수그린 모습인데 가냘픈 두 손은 붉은 고삐를 잡고 있다. 말도 여인도 애잔한 모습인 것은 고국을 뒤로 하고 오랑캐의 땅으로 떠나기 때문일 것이다. 머리쓰개와 옷차림이 모호한 고전성을 띠는 가운데 비단옷의 파스텔 톤 색채를 세심하게 조화시키고 무늬도 서로 다르게 그려 넣어 이 여성이 귀한 신분임을 나타냈다.

말 그림의 전통에 따라 희고 둥근 반점이 빽빽한 청색 말은 옆모습으로 그렸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등에 윤덕희의 말 그림으로 춘지세마도(春池洗馬圖), 백마도(白馬圖), 군마도(群馬圖), 팔준도(八駿圖), 쇄마도(刷馬圖) 등이 있다고 열거해 다양한 형식의 말 그림을 그렸음을 알 수 있다. '말을 탄 여인'은 아버지 공재 윤두서와 함께 말 그림으로 온 나라에 이름을 떨쳤다고 한 윤덕희의 실력을 확인시켜주는 말 그림이자 조선후기 미인도의 이른 예이다.

미술사 연구자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