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8    업데이트: 23-02-16 09:38

언론, 평론

전통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조화 - 박영택 (평론가, 경기대 교수)
관리자 | 조회 991
전통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조화
 
박영택 (평론가, 경기대 교수)

 
 
김봉천의 근작은 전 시대의 작업에 비해 세상 그리기와 형상, 채색 등에 보다 치중된 조형의식을 드러내주고 있다. 이전의 작업이 수묵위주의 작업과 다분히 재료나 기법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변주 및 추상적 형태의 출몰과 독특한 표면의 질감, 흔적으로 인해 파생되는 형식적 내음이 보다 짙게 우러나오는데 치중 되었다면 최근에 들어와서는 보다 구체적인 형태감이 화면 중앙에 자리하고 있고 배경에는 아직은 전작업의 흔적이 잔존함으로 인해 프로타쥬 기법에 따른 다양한 텍스츄어와 미묘한 잔상을 동반한 마티엘의 흔적이 상존하고 있지만 형식적 느낌보다는 담담하고 격조 있는 동시에 서정적 뉘앙스와 정신적 분위기 혹은 동양적인 관조의 고담한 기운이 어려 있는 그런 배경으로 자족하면서 중앙에 위치한 꽃이나 그 밖의 형상들을 보조하면서 함께 호흡하고 있음이 눈에 띈다. 다시 말해 배경과 표면의 형상이 함께 맞물리면서 증폭된 이야기나 감정을 가시화 시켜주고 있다는 얘기다. 그런 면에서 보다 서술적이고 낭만적이며 가라앉아 있는 담백한 분위기를 그윽하게 밀어 올려주고 있는데서 감촉되는 안온한 서정취가 짙게 풍기고 있음과 조우한다. 매우 세련되어 보이기도 하고 장식성이나 화면구성의 묘미와 각종의 형식과 기법을 한데 엉겨놓은 것 같은 절충의 내음도 풍기면서 지나치게 스타일의 정비를 서두르는 듯한 인상도 줄 수 있을 것 같은데 은연중 지판화를 동원해 미묘하면서도 효과적인 배경의 문양 혹은 흔적, 잔상의 어우러짐이 머금고 있는 색조의 생성이나 탁본 형식을 이렇게 멋들어지게 화면구성의 주요한 부분으로 설정해서 구사하는 매력도 흔히 보지 못하는 것이라 신선하기도 하고 또한 밑에서부터 은은하게 밀고 올라오면서 촉촉하고 투명하게 밀어 올리는 채색의 미묘함과 소담하면서 여리게 꽃 이파리가 그려지거나 대나무의 줄기 등이 격조 있게 올려 진 솜씨도 주목된다.

종이를 오려붙이고 파라핀을 입힌 후 다리미질을 해서 얹힌 지판화의 볼록판 효과가 매우 풍부한 회화적 미감과 분위기를 창출해 주는데 그것이 흡사 탁본에서 연유하는 미감과 유사해서 이 작가는 나름의 배경효과를 살리면서 동시에 고색창연하고 시간의 흔적이 다닥다닥 엉긴 그런 분위기도 함께 떠올려주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무슨 글자의 형상이 있거나 바위의 주름이나 자연의 잔상 같기도 하고 그래서 그것 자체로 풍부한 표현의 맛과 회화적 미감으로 얼룩져 있음도 볼 수 있다. 그 위로는 앞서 언급했듯이 몇 개의 단촐한 꽃과 꽃잎이 독자적으로 위치해 있고 나무줄기가 멋들어지고 활달하게 그려져 있다. 정교한 꽃의 표현과 드는 필력으로 공간을 장악하고 있는 그어진 대그림은 흡사 우리의 전통적인 화조화나 사군자를 연상시킨다. 아마도 이 작가는 화조화나 사군자 양식을 현대적으로 새롭게 해석해 보려는 시도를 은연중 드러내고 있는 듯 한데 기운생동의 발묵과 모필의 속사에서 풍기는 맛과 담백한 색조의 은은한 발림으로 떠오르는 꽃그림의 정교함 등이 바로 그런 맥락아래 조율되어 있는 것 같다. 그전부터 지속적으로 전통적인 동양화 매재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과 미감을 새로운 차원으로 가시화하려는 노력을 성실하게 보여 온 이 작가는 근자에 더욱 개성적인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아직도 그림을 구성해내는 자잘한 시각적 요소에 마음이 빼앗긴다든가 장식적이고 꾸며진 화면구성에 기울고 있다든가 하는 식의 아쉬움도 상존하고 있는 것 사실이다. 그런데 이 작가는 이미 이런 아쉬움을 익히 알아 ‘92년 개인전 도록에 다음과 같이 적고 있었다. “시대적 흐름에 편승한 기존양식의 붕괴와 외형상의 급격한 변화의 조짐은 전통 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조화가 아니라 형식주의의 유희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소리도 염두에 두면서 이제부터 나의 작업 속에 숨어 있는 새로운 형상들을 하나씩 끄집어내고 싶다.” 아마도 이런 인식이라면 지금의 그의 그림에서 얼핏 드러난 몇 가지 아쉬움의 틀에서 벗어나 자신의 메시지와 주체 의식을 보다 확장된 의식 속에 담아 낼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최근의 젊은 작가들의 작업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요인으로 꼽는다면 지나치게 그림들이 구상적이고 장식성이 농후하다는 사실, 또한 그 장식성이란 것도 다름 아니라 그림의 소재나 내용, 기법의 있어서의 지나친 유사성과 반복화 된 답습에서 오는 매너리즘의 흔들거림 등에서 연유한다는 것을 지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로 인해 궁극적으로 담아내야할 작가의 정신 내지 그림의 본원적 기능이나 의미 등이 소거된 상태에서 누가 더 잘 그리고 꾸며내고 독특한 기법을 구사하면서 화면을 구성해내는 가에만 몰두할 수 있는 아쉬움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는 생각이다. 아무쪼록 그런 질곡에서 벗어나 비록 힘겨운 과정이지만 진지하게 그림의 본원적 기능이나 의미에 대한 탐색을 한 축으로 하면서 동양화의 현대성 내지 현대적 조형감각으로 과연 나의 무엇을 담아낼 것인가 하는 그런 문제와 진지하게 맞붙어 싸우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 본다. 그래서 이런 상식적인 사고와 물음이 보다 진지하게 풀려나가야 한다는 생각도 함께 드는 것이다.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