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4    업데이트: 18-06-21 09:10

CRITICS

타고났거나 혹은 잘 준비된_이재언(미술평론가)
관리자 | 조회 942
타고났거나 혹은 잘 준비된

 

화가 이영희는 천상 화가이다. 그를 보면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말이 떠올려진다. 운명적으로 화가가 될 수밖에 없는 사람이었기에 말이다. 무얼 하든, 또 어디 있든 모든 사고와 관심, 삶의 에너지들이 창작의 길로 수렴될 수밖에 없는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재능과 감각이 타고난 데다, 열정과 ‘끼’(?)까지 타고난 사람이다. 사실 전자를 갖춘 경우도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후자까지 갖춘 경우는 더욱 드물다. (필자의 경우, 그림을 전공했다가 畵業을 포기한 사람이다 보니, 바로 이 점을 부러워했으며, 또한 중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예술에 대한 진지하고도 겸허한 태도, 진정으로 예술을 사랑하는 내면이 갖추어져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그런 느낌이 든다. ‘타고 났거나 혹은 잘 준비된’ 작가가 아닐까.....운명적으로 예술가의 길을 갈 수밖에 없는 조건들을 고루 갖춘 타고난 ‘그림꾼’인 것이다. 
작가의 그림을 본다는 것은 시종 튜닝이 잘 된 악기의 연주를 듣는 것과도 같은 느낌을 받는다. 한 작가의 것이라 해도 그림들마다 밀도나 완성도는 들쑥날쑥 할 수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작가의 그림들은 한결같이 일정한 조건들 위에서 일정 수준을 균등하게 유지하고 있는 편이다. 주제나 소재, 패턴이 다른 경우는 있어도, 화면에서 드러나는 질이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는 버릴 것이 단 하나도 없다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거 작품부터 근작들에 이르기까지 균질의 높은 완성도를 일정하게 보인다는 것은 작가 스스로 조형감각을 항상 절정에 올려놓고 작업을 하며, 자신의 작품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갖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작가의 엄격성이 스스로를 가두는 우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경험적으로 외부와는 열려 있지만, 자신의 내면에 대해서는 언제나 성찰과 견제를 게을리 하지 않았기에 오늘의 작가가 있는 것이다. 

작가가 그림을 그리는 것은 마치 일상 속에서 일기를 쓰는 것 같은 자기성찰의 계기로부터 출발하였다. 작가의 시선이 자기 밖으로 향하기보다는 자신의 내면을 향해 있었던 것이다. 작가가 본격적인 화업에 투신한 이래 지금까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활약을 해 왔다. 첫째는 <일상의 기적>ordinary miracle이다. 숲이나 구름, 꽃과 같은 자연의 이미지가 강하게 부각은 되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담담하고 소박하다. 부드럽고 담담한 필치와 함께 세계를 푸른 베일로 감싼 것 같은 화면은 일상 너머의 세계를 관조하고 동경하면서, 우리의 감성에 치유와 위로의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서 추구한 연작은 <무한의 꿈>(infinite dream)이다. 이전의 자연이라는 화두를 보다 관념적으로 각색해내는 단계이며, 지금의 기하적인 분할과 이미지 패치웍의 단초가 이 단계에서 마련되고 있다. 또한 작가의 화면에서 단골처럼 등장해 온 의자 이미지가 조금은 조심스럽게 삽입되고 있었다. 또한 지금도 부분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추상의 인자들이 이 단계에서 발전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치 이드(Id) 상태에 머물던 자아가 조심스럽게 세계와 조우하는 가운데 맞이한 지점, 혹은 인간과 자연이 만나는 접점의 상상적 풍경으로 읽히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달콤한 기억들> (sweet memories) 연작이다. 보다 더 구체화된 서술의 의지를 화면에 담고 있으며, 큰 분할 속에 이미지를 다중적으로 배열해나가는 화면이 두드러진다. 이 단계에서는 작가의 아이콘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의자 이미지가 보다 비중 있게 등장하면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의지와 그것을 은유나 절제의 장치로 수렴하려는 의지 속에서의 왕래가 다음에 나타날 작업을 예고하고 있다. 

	
작가는 최근 ‘마음에서 마음으로’(Heart to Heart)라는 주제의 연작들에 몰입해 있다. 다양한 사회운동과 복지활동에 참여해 온 작가의 관심사와 가치가 화면에 투영되고 있는 것이다. 작가의 작업공간이나 생활공간 모두가 이웃 공동체를 향해 열려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데서도 작가의 관심이 잘 엿보인다. 이웃과 사회 구성원들 간의 따뜻한 유대를 염원하는 작가의 내면이 그대로 화면에서 읽혀지고 있는 것이다. “타인에게 위로 받고 싶고, 또 때때로 이웃과 소통하고 싶은 내면”은 작가만의 가치가 아니라 동시대 보편적 가치에 해당된다. 그러나 우리가 자주 잊고 있는 가치이기도 하다. 바로 이러한 평범하면서도 소중한 가치를 조형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작가의 그림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메시지의 핵심적 매개가 바로 의자 이미지이다. 오래 전부터 등장해 온 의자 이미지는 근작들에서 전례 없이 강렬하게 부상하고 있다. 의자는 존재의 사회성을 시사하는 상징으로 등장하곤 한다. 휴식, 대화, 기능, 권위 등을 상징하는 의자,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사회적인 다의적 아이콘이다. 나아가 조병화 님의 詩에서와 같이 하나의 ‘세대’를 의미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그러한 다의적 상징의 대상인 의자 이미지가 작가의 화면에서 구현되는 방식은 상징으로서만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향유하고 음미할만한 심미적 구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야말로 화면에서 탄탄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題材가 아닐 수 없다. 이 이미지를 화면에 펼쳐내는 방식에서 작가의 재능이 잘 엿보인다. 
작가의 화면에서 의자 이미지는 그것의 다양한 상징과 기능만큼이나 다양한 모습과 각도로 등장한다. 그것은 환영으로 다가오는 푸른 하늘, 혹은 또 다른 세상을 열어 보이는 통로이자 창이다. 이 대목에서 작가의 이미지 구성에 대해 부연하지 않을 수 없다. 의자 이미지는 하나 혹은 두 개로 화면의 분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시원시원한 분할이 약간 비켜선 위치에서 본 비례적 구성은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요소이다. 게다가 ‘이미지’ 속에 ‘이미지’가 자리하는 다중 구성은 단조로운 듯하지만, 이야기 서술에 이만큼 호소력을 갖는 경우도 드물 것이다. 좋은 짜임새, 그야말로 화면 분할과 구성에 있어 교과서 같은 느낌을 준다. 

작가의 그림들이 작가만의 단조로운 구성 속에서도 범상치 않은 성취도를 보이는 데는 크게 네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하나는 물 흐르듯 무리 없는 비례적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둘째는 구성과 텍스츄어의 조합이 독특한 아우라를 갖는다는 점. 셋째는 색채의 구사와 조합에 기인한다. 끝으로 화면에 작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서술과 감각적 절제를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론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의 비례적 구성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성도를 담보하는 핵심 요소로서 작품의 성패를 좌우하는데, 이 점에서 작가는 타고난 감각을 발휘하고 있다. 구성은 간명하게 이루어지지만, 지각의 단조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이유는 구성 이미지 설계가 탄탄하기 때문이며, 이미 이 단계에서 그림의 성과는 결정이 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함께 이루어지는 색채조합이나 텍스츄어와의 상호작용 등이 상당히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치밀하게 안배한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두 번째는 작가 특유의 구성 감각에 동반되는 텍스츄어의 문제이다. 작가의 화면에서 또한 주목할 것은 구성과 텍스츄어(혹은 마티에르)의 함수적 관계이다. 화면을 시원하게 구성했을 때 우리의 시각은 바로 텍스츄어로 안내되기 마련이다. 구성 자체가 잘게 이루어진다면 시차 없이 바로 색을 띤 도형처럼 동시에 지각하지만, 구성이 단조롭고 크게 이루어지는 경우는 약간의 시차를 두면서 물이 흐르듯 표면으로 시선이 흐르게 된다. 작가는 바로 이 대목에 세심하게 대처하여 에너지를 집중시키고 있다. 어떤 색면은 미세한 점묘(물론 자세히 보아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의 집적을 이루고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는 갈필 같은 거친 마티에르가 몇 차례 집적되면서 나타나는 두터운 마티에르와 명상적인 중색효과 등이 아우라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 
이는 연필로 채색된 말레비치(Kazimir Severinovich Malevich)의 검정 사각형이 단순히 붓에 의한 착색과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의미심장하게 받아들인 결과이다. 구조가 단순할수록 텍스추어가 상대적으로 의미를 갖게 된다는 사실은 전통적으로 주지되어 있는 원리이지만, 그것을 가장 극적으로 활용한 사람들이 바로 환원주의적 추상이나 미니멀아트 작가들일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그러한 유파들의 엄격성보다는 색면마다 고유의 효과들을 내재화시키고 화면 곳곳에 산포시킴으로써 보다 은유적인 아우라를 얻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작가의 그림에서 색 또한 빠뜨릴 수 없는 사항이다. 그의 그림은 오랫동안 청색조에 갇혀 있는 듯했다. 그러다 지금은 어딘지 모르게 청량함과 생기에 찬, 그러면서도 몽환적인 우수가 곁들여진 청색조의 화면들이 서서히 퇴조해가고 있는 시점이다. 절제와 엄격성을 보다 다른 차원으로 옮겨 적용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아무튼 작가는 지난해부터 청색을 여전히 즐겨 쓰는 가운데, 핑크와 검정이 강한 대비를 이루는 색의 조합을 자주 등장시키고 있다. 그 결과는 단조로운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화면이 공간적 깊이를 갖는다거나 혹은 따뜻한 내면의 상징으로 선택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작가의 최근 그림들이 과거에 비해 훨씬 밝아진 가운데 소품처럼 등장하고 있는 삽화 이미지들도 한결 명료하게 서술적 역할을 하고 있다. 화면에 자주 등장하는 꽃, 새, 구름 등의 이미지들은 우리 인간이 추구하는 본질적 가치의 일단으로, 관객에게나 이웃들에게 진실된 화해와 동행을 권하는 메신저들이다. 이전의 화면들이 조심스럽게 의사 표현을 하는 것이라면 근작들은 보다 명료한 목소리와 제스츄어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형식적 완결성을 위해 불필요한 군더더기들이 제거된 간명한 화면 속에서도 작가가 중시하는 가치는 사회적인 것에 있음이 분명하다. 
작가의 삶을 볼 때, 실제로 현실에서 성취해내려는 것이나 작품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바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일치하고 있다. 오랫동안 타자화된 이웃들에 문을 열고 더불어 사는 가치의 소중함을 현실에서만이 아니라 그림에서도 담고 있는 것이다. 그야말로 작가는 ‘거대한 서사’(grand narrative)가 아닌 ‘소중한 서사’(precious narrative)로써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방향은 현명한 선택으로 보이며, 또한 절정의 단계에서 들려주는 그림이야기들은 커다란 생산적인 반향들을 얻어낼 것으로 기대가 된다. 

이 재 언 (미술평론가)
	
Natural born or just well trained

 

Younghee Lee is truly a natural-born artist. She brings to mind the phrase, “talent will reveal itself.” It seemed inevitable that she would become an artist. Whatever she does or wherever she goes, she is the one who translates every thought, interest and energy of life into the form of creative art. Not only was she born with talent and heightened senses, but she was also blessed with passion, that some call 'gifted'. It is not common when one has the former, but it is even rarer still when one has the latter. (For instance, I majored in painting but as someone who gave up the artist’s profession, I envy her and I value this quality.) There is no doubt that she possesses a serious approach to art, but she remains modest and lets her natural love of art 
shine through. Is she natural born or just a well trained artist? Without a doubt, she is a true “artist,” in the truest sense of the word. 

Viewing an artist’s work gives one the same feeling as listening to well-tuned music. It is customary for each painting to have uneven density or completion, even if the paintings are from the same artist. However, the artist's painting usually tends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consistency. Differences may exist in topic, material or pattern, but it is essential that nothing is wasted with respect to quality or completion on the canvas. The fact that all the works from past to present show an even complexion with integrity means that the artist always works by placing herself as her harshest critic, thereby enforcing the highest level of standards. There is obviously a conflict between having a self-imposed high level of standards and at the same time not suppressing one’s ability to think and create freely. Younghee is open to the outside world from her many experiences, but she has not neglected introspection and control of her inner self, enabling her to be who she is today. 

Her paintings start with introspection, much similar to writing a personal diary. Her perspective draws from her inner self rather than pointing towards the external. Since she has devoted herself to her works faithfully, She has often been influenced by four major themes. The first is “Ordinary Miracles”. Images of nature such as: forests, clouds and flowers stand out vividly, but the overall mood is serene and simple. The canvas seems like it is encompassing the world with a blue veil, with soft and serene touches that contemplates and longs for a world beyond daily life and puts arms around our shoulders to heal and comfort our emotions. 

The second theme is “Infinite Dreams.” It is a stage that dramatizes previous subjects of nature more idyllically with current geometrical divisions and image patchworks presented.  An image of a chair is frequently and carefully inserted on the canvas. It seems that abstract factors that are partially contained in more recent works have emanated from this theme also. That is to say, it is being seen as the imaginary landscape of a point where an Ego remains in the Id condition, carefully meeting the world at a point of contact where human and nature coincide.

The third theme is “Sweet Memories”. It embodies the intention of creating more detailed content on the canvas while emphasizing the arrangement of images in multiple ways within a large division. Here, the image of a chair, which is not to say an icon of the artist, emerges even more significantly. The interaction between a will to tell and a will to gather is a metaphor or moderation that announces the work to come later. 
	
Younghee has recently immersed herself in the fourth theme called “Heart to Heart”. This theme reflects her interest and respect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social movements and social welfare activities. Her interests in this area are demonstrated by the design of a home in which many of her works are displayed and open to her neighbors. Her inner feelings reach out for a warm bond between neighbors and other members of society and these can be read on the canvas. "Inner feelings that want to seek comfort from other people and often wants to communicate with neighbors" is not only valuable to her, but is a common value to many in our current society. Nevertheless, it is a value that we often neglect. This is reflected in her work. This appeals to the ordinary, yet carries a great deal of symbolic significance. 

A key image that continues throughout is that of a chair. The chair is more prevalent than ever in her recent works. The chair emerges as a symbol of a social existence. A chair represents rest, conversation, function, authority and others. It is a versatile icon because it represents individualism, while at the same time it represents living in a society. Furthermore, as in a poem by Byeong-hwa Jo, it also means one “generation.” The image of a chair is not only a symbol, but also is an esthetic structure that can be possessed and appreciated through perception. It is an object that firmly stands on the canvas. Her talent is best shown by this image on the canvas. 
	
The image of the chair appearing on the canvas is presented with various features and degrees as much as it’s various symbols and functions. It is like the approaching sky or a window that opens to another world. At this point, we cannot amplify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artist. The image of the chair also manages a division of the canvas as one or two parts. Proportional structure is accomplished by the fine division of a chair which is slightly leaning. This is a valuable factor in itself. Moreover, the multi-composition of an 'image' within an 'image' may appear monotonous, but it is rare to have such appeal at the beginning of a story. Good weaving presents a feeling that it is a textbook for canvas division and composition.   
	
How her painting can reveal so much in only one composition results from four salient factors. First, it presents moderate and proportional composition like flowing water. Second, the combination of composition and texture has a unique aura. Third, it results from mixture and command of colors. Last, a methodology is used that appropriately provides the description of a story that she wants to deliver on the canvas in sensational moderation. 
	
First, proportional composition, as previously mentioned, is a key factor that guarantees completion which literally makes or breaks the work. In this aspect, the artist displays an innate sense. Composition is simple, but the reason that it overcomes perceptual monotony, is because the composition image design is firm and the result of the painting is decided at this stage. 
	
Second, the issue of texture is accompanied by the unique composition sense of the artist. Another point to note is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texture (or Matiere). When the canvas is freely composed, our eyes are immediately guided to the texture. If the composition itself is cut into small pieces, it is perceived as a pattern with color without time difference; however, when the composition is simple and large, there is a slight time difference and our eyes follow the surface like flowing water. She delicately responds to this part and even concentrates the energy. One color is comprised of an accumulation of tiny spots (of course, some of them can be perceived through close observation) while others form an element of aura with a meditative medium color effect, as well as an accumulation of several layers of tough Martiere, unevenly stroked. 
	
This is the outcome of seriously accepting the fact that Kazimir Severinotich Malevich's pencil drawing of a black quadrangle which shows the differences of color with simple brush strokes. It has been a traditionally known principle that the simpler the composition, the more comparatively meaningful the texture. It is believed by some that reductionism abstract or minimal art artists are the only ones who have exclusively used this technique. However, rather than showing the strictness of this school, she internalizes the indigenous effects of each color while dispersing it to every portion of the canvas. Thusly, she was able to create a metaphorical aura.   
	
Her use of color must be addressed. Her painting appears to have been confined to blue shades for a long time. However, while the blue screening is clear, cool and vibrant as well as dreamy and somewhat melancholy, it is now being somewhat reduced. It is now moving in moderation and strictness to another dimension and application. Since last year, she still enjoys using blue color, but it also often emerges as a mixture of color that forms a strong contradiction to pink and black. As a result, the canvas appears to have a spatial depth or containing a warm, inner symbol in spite of its simple composition. 
	
While her recent paintings have become much brighter compared to her previous works, illustrated images that emerge as props play a rather clear, narrative role. Images such as flowers, birds and clouds often appear on the canvas as a part of essential values that human beings pursue. These are symbols that suggest true reconciliation and accompaniment to the audiences and neighbors. While the previous works carefully express opinions, recent ones deliver the message with a clear voice and gestures. Her work needs no embellishment and it is quite evident that the values which she emphasizes the most are social issues.  
	
In conclusion, it is obvious that what she truly wants to accomplish in real life and what she wants to represent in her work are totally united have no divide. She sees the importance of values not only in real life, but also in the clear message of opening metaphorical doors to the neighbors who have been significant parts of each others’ lives. Namely, her work appears not only as a “grand narrative”, but also as a “precious narrative”. Such a direction on the part of the artist seems a wise choice. My expectation is that her future paintings will be highly artistic creations. 

Jae-un Lee (Art Critic)
	

 
덧글 0 개
덧글수정